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홍성군청

행복이 가득한 지금 홍성은?
해당 콘텐츠와 관련된 유튜브 영상을 바로 보실 수 있습니다.

하단에 콘텐츠는 유튜브에 등록된 관련 영상을 불러와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부적절한 영상은 필터링을 통해 지속적으로 선별 합니다. 문제있는 영상은 신고해주세요!

신고하기

마을소개

  • 백제 때는 사시량현(沙尸良縣)에 속했었다. 신라 때는 결성군(潔城郡)의 영현(領縣)인 신량현(新良縣)에 속했으며 고려 때는 초엽에 여양현(驪陽縣)에 속했었다. 그 뒤엔 홍주에 속했다가 조선 초엽엔 홍주군(洪州郡)에 속했으며 조선 말엽엔 홍주군(洪州郡) 오사면(烏史面)의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옥계리(玉溪里) 화전 죽하리(竹下里) 성중리(城中里) 성하리(城下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화전과 옥계(玉溪)의 이름을 따서 화계리(花溪里)라 하고 홍성군(洪城郡) 장곡면(長谷面)에 편입되었다.

    1. 꽃밭들 : 옥계(沃溪) 동남쪽의 마을을 꽃이 많이 피는 곳이라 꽃밭들이라고 부르는데 옛날에 황판서가 이곳에 살때에도 꽃 같은 여자들이 많았다 한다. 강가에도 꽃이 많이 피는 마을이라 화전(花田)이라고도 부른다.
    2. 모산(茅山) : 꽃밭들 북쪽의 마을을 모산(茅山) 못안이라고 부른다. 마을 앞에서 방죽이 있는데 복치형(伏雉形)의 명당이 있다 하여 꿩이 뒷산에서 많이 산다 하여 모산(茅山) 못안이라고 부른다.
    3. 눈치 : 장곡면 화계리(長谷面 花溪里) 1구에 자리한 마을이다. 옛날엔 산과 들에 눈이 많이 내리고 겨울엔 꿩이 많이 돌던 곳이라 눈치라고 부르는 마을이다.
    4. 옥계(沃溪) : 꽃밭들 서북쪽의 마을을 풍수설에 따르면 마을의 산수가 수려해서 큰 인물이 나올 곳이라 옥계(沃溪)라고 부른다.
    5. 장고배미 : 장곡면(長谷面) 화계리(花溪里) 1구에 자리한 마을이다. 옛날에 장고 한 개 값을 주고 산 땅에 마을이 생겼다 해서 장고배미라고 부른다.
  • 백제 때는 사시량현(沙尸良縣)에 속했었다. 신라 때는 결성군(潔城郡)의 영현(領縣)인 신량현(新良縣)에 속했으며 고려 초엽엔 여양현(驪陽縣)에 속했다가 뒤에 홍주에 속했었다. 조선조 초엽엔 홍주군(洪州郡)에 속했다가 조선 말엽엔 홍주군(洪州郡) 화성면(化城面)의 지역이었다. 산수가 으뜸이어서 옥계(玉溪)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옥계리(玉溪里)와 원당리(元堂里) 일부와 유곡면(酉谷面)의 대부리(大釜里) 그리고 성지면(城枝面)의 상두리(上杜里)의 일부를 병합하여 옥계리(玉溪里)라 하고 홍성군(洪城郡) 장곡면(長谷面)에 편입되었다.

    1. 등대실(登臺室) : 북동굴 남쪽에 자리한 마을로서 옛날에 절이 있었는데 그 절의 이름을 따라 등대실(登臺室)이라고 부른다 한다.
    2. 가정골 : 등대실(登臺室) 동쪽 마을을 옛날엔 큰 정자나무가 있어서 마을의 산수가 뛰어나서 가정골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한다.
    3. 벌티 : 등대실(登臺室) 서북쪽 마을을 산에 둘러 싸여 있어서 하늘만 빤하게 보이고 밤에는 별만이 보인다는 마을로 벌티 성티라고 부르는데 옛날부터 피난처로 알려진 마을이다.
    4. 제실(齊室) : 등대실(登臺室) 서쪽 마을을 여주 이씨의 제실이 있는 마을이라 제실(齊室)로 부르는 마을이다.
    5. 반계(潘溪)장터 : 등대실(登臺室)과 산성리(山城里) 어영골과 인접한 곳에 자리한 마을을 옛날부터 큰 시장이 서서 이 부근에 사는 사람들로 장날이 붐비는 튼 장터라 반계(潘溪)장터라고 부른다. 마을 앞 내를 경계로 청양군(靑陽郡)과 군계(郡界)를 이룬다.
  • 신석기시대부터 인류가 정착하기 시작한 대현리(大峴里) 지역은 삼한시대에 마한의 부락사회국가인 사로국의 외곽에 위치해 있었다. 백제 때는 사시량현(沙尸良縣)에 속했으며 신라 때는 결성현(潔城縣)의 영현(領縣)이 신량현(新良縣)에 속했었다. 고려 때는 초엽에 여양현(驪陽縣)에 속했다가 뒤에 홍주에 속했으며 조선 초엽엔 홍주군(洪州郡)에 속했었다. 조선 말엽 홍주군(洪州郡) 유곡면(酉谷面)의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월현리(月峴里) 평촌(坪村) 대부리(大釜里) 일부를 병합하여 대부(大釜)와 월현(月峴)의 이름을 따서 대현리(大峴里)라 하여 홍성군(洪城郡) 장곡면(長谷面)에 편입되었다.

    1. 월현(月峴) : 대부동(大釜洞) 북쪽에 자리한 고개로서 대현리(大峴里)에서 행정리(杏亭里)로 통하는 고개를 달고개 월현(月峴)이라고 부르고 그 고개 아래에 자리한 마을도 월현(月峴)이라고 부른다. 대현리(大峴里) 2구에 자리한 마을인데 달이 넘어가는 고개 아래에 마을이 있다 해서 월현(月峴) 달고개라고 부른다 한다.
    2. 대부동(大釜洞) : 달고개 남쪽의 마을에 대부창(大釜倉)이 있었다 해서 대부동(大釜洞)이라고 부른다.
    3. 대부창(大釜倉) : 대부동(大釜洞)에 조선 때에 대부창(大釜倉)이 있었다. 조선 때는 근방의 얼방 성지 유곡의 삼면의 쌀을 거둬들여 보관하였던 큰 창고가 있었던 자리다.
    4. 닭고지 : 유곡(酉谷)이라고도 부른다. 달고개 북쪽의 마을을 닭고지라고 부른다. 마을이 닭이 우는 형국이라 닭고지라고 부른다 한다.
    5. 평티 : 윗골 서쪽의 마을을 산의 모양이 병목처럼 생겼다 해서 평티라고 부르는데 고개 아래 마을도 고개 지명 따라 평티라고 부르며 또한 평촌(坪村)이라고도 부르는데 옛날 나라에 큰 난리가 났을 때도 이 마을 만큼은 안전하였다 하여 평안을 평풍처럼 두르고 사는 마을이라 평티 평촌이라고 부른다 한다.
    6. 유곡면(酉谷面) 터 : 닭고지에 조선 때의 유곡면(酉谷面) 터가 있다.
  • 백제 때는 사시량현(沙尸良縣)에 속했었다. 신라 때는 결성군(潔城郡)의 영현(領縣)인 신량현(新良縣)에 속했며 고려 때는 초엽에 여양현(驪陽縣)에 속했으며 그 뒤에 홍주에 속했었다. 조선 때는 초엽에 홍주군에 속했다가 조선 말엽엔 홍주군 유곡면(洪州郡 酉谷面)의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하소리(下所里) 행계리(杏溪里) 지정리(智亭里) 일부를 병합하여 행계(杏溪)와 지정(智亭)의 이름을 따서 행정리(杏亭里)라 하여 홍성군(洪城郡) 장곡면(長谷面)에 편입되었다.

    1. 행계(杏溪) : 속은(俗隱) 남쪽으로 행계리(杏溪里) 1구에 자리한 마을인데 옛날엔 마을 시냇가에 살구나무가 많이 있었다 해서 행계(杏溪)라고 불렀었다. 지금도 그렇게 부른다.
    2. 조쟁이 : 행계(杏溪) 서쪽으로 조장리(朝藏里) 지장리(紙匠里) 지정리(智亭里)라고도 부르는데 행정리(杏亭里) 1구에 자리한 마을로서 산세가 조쟁이처럼 생겼다 해서 조쟁이라고 부른다 한다.
    3. 장고개 : 조쟁이에서 월계리(月溪里) 용연으로 가는 고개를 장고개라고 부른다. 광천 기장으로 가는 길목고개라고 부른다.
    4. 방아샘 : 조쟁이 북쪽 길가에 샘이 있는데 이 샘을 방아샘이라고 부른다. 옛날에 이 물을 받아쓰던 방앗간이 있다 해서 방아샘이라고 부르는데 용이 승천한 샘이라 한다. 그래서 용샘이라고도 부른다.
    5. 능만 : 소군 북쪽으로 능내(陵內)라고도 부르는데 구전에 따르면 왕능이 있었다 해서 능안 능내(陵內)라고 부른다고 하고 능과 같은 산이 있었다고 해서 그렇게 부르기도 한다.
    6. 속은(俗隱) : 행정리(杏亭里)에 속은(俗隱)이라고 부르는 마을이 있다. 변해서 소군이라고도 부르는데 중종반정(中宗反正) 때까지 벼슬 길에 오르기 위하여 열심히 글을 읽었던 선비 한 사람이 중종반정(中宗反正)이 일어나자 책을 버리고 농사를 지으며 살았다. 스스로 속인이라고 자처하고 속인이 묻혀서 사는 마을이라고 속은(俗隱)이라고 불렀다 한다. 행정리(杏亭)에서 으뜸되는 마을이다.
    7. 다박솔 : 장곡면(長谷面) 행정리(杏亭里) 꽃밭골 남쪽으로 소나무가 있는데 이 소나무를 다박솔이라고 부른다. 나무의 수령(樹令)이 300여 년 되는 나무로서 나무의 모양이 버섯처럼 다보록하다 해서 다복솔이라고 부른다.
  • 신석기시대부터 인류가 정착하기 시작하여 삼한 때 마한의 사로국의 외과에 자리해서 일찍부터 인류가 살기 시작한 곳이다. 백제 때는 사시량현(沙尸良縣)에 속했으며 신라 때는 결성군(潔城郡)의 영현(領縣)인 신량현(新良縣)에 속했었다. 고려 초엽에 여양현(驪陽縣)에 속했다가 뒤에 홍주에 속했었다. 조선 초엽엔 개편에 따라 홍주군(洪州郡)에 속했다가 조선 말엽엔 홍주군(洪州郡) 유곡면(酉谷面)의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의 개편의 따라 얼방면 상식리(上植里) 강촌(江村)의 각 일부와 청양군(靑陽郡) 서상면(西上面)의 하강리(下江里)일부와 대흥군(大興郡) 일남면(一南面)의화암리(花岩里) 각 일부를 병합하여 천태리(天台里)라 하고 홍성군(洪城郡) 장곡면(長谷面)에 편입되었다.

    1. 만궁암(慢弓岩) : 바리미 북쪽으로 산이 있는데 이 산을 만궁암(慢弓岩) 이라고 부른다. 산의 형국이 활을 당겨 쏘는 것처럼 생겼다 해서 만궁암(慢弓岩)이라고 부르는데 산을 팔병사(八兵使)가 날 명당이 있다는 산으로 알려져 있다.
    2. 연봉정(蓮峯井) : 바리미 동북쪽으로 옛날엔 큰 연못이 있었고 연못 옆에 큰 정자나무가 있었는데 그늘이 좋고 수려하여 이 마을을 연봉정(蓮峯井)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한다.
    3. 양곡(陽谷) : 송산(松山) 동쪽으로 양지(陽地)바른 곳에 마을이 있다 해서 양곡(陽谷)이라고 부르는데 풍수설에 따르면 두 나라의 정승이 나올 명당이 있다 한다.
    4. 송산(松山) : 양곡(陽谷) 서쪽으로 마을에 소나무가 많아서 옛날부터 송산(松山)이라고 부르는 마을이다.
    5. 바리미 : 양곡(陽谷) 동쪽으로 마을에 바리처럼 생긴 발이산(鉢伊山)이 있다 해서 바리미라고 부른다.
    6. 꽃바위 : 연봉정(蓮峯井) 북쪽으로 마을에 꽃처럼 생긴 바위가 있었으며 그 바위에서 꽃이 피는데 고은 꽃바위가 있다 해서 꽃바위라고 부르는 마을이다.
  • 백제 때는 사시량현(沙尸良縣)에 속했었다. 신라 때는 결성군(潔城郡)의 영현(領縣)인 신량현(新良縣)에 속했으며 고려 초엽엔 여양현(驪陽縣)에 속했었다. 그 뒤 홍주군(洪州郡)에 속했다가 조선 초엽엔 홍주군(洪州郡)에 속했으며 조선 말엽엔 홍주군(洪州郡) 유곡면(酉谷面)의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지명동(智明洞) 상흑리(上黑里) 하흑리(下黑里) 상계리(上桂里) 하계리(下桂里) 계산리(桂山里) 마정리(馬井里) 마전리(麻田里) 각 일부와 홍안송면(洪安松面) 상소리(上所里) 각 일부를 병합하여 지명(智明)과 마정(馬井)의 이름을 따서 지정리(智井里)라 하여 홍성군(洪城郡) 장곡면(長谷面)에 편입되었다.

    1. 검은들 : 계산리(桂山里) 북쪽으로 흑석(黑石) 흑석동(黑石洞)이라고도 부르는데 마을 뒷산에 검은 바위가 많다 해서 검은들 흑석(黑石) 흑석동(黑石洞)이라고 부른다.
    2. 계산리(桂山里) : 검은들 남쪽으로 이 마을을 계산리(桂山里) 또는 계월리(桂月里)라고 부른다. 마을 뒷산에 큰 나무가 있었는데 나무 모양이 계수나무 같다 해서 계산리(桂山里) 계월리(桂月里)라고 부른다.
    3. 하흑(下黑) : 검은들 아래쪽으로 동살미라고도 부르는데 검은들 아래쪽으로 마을이 있다 해서 하흑(下黑)이라고 부른다. 지정리(智井里) 1구에 자리한 마을로서 한양조씨(漢陽趙氏)의 묘가 있는 산에 평산락안형(平山落雁形)의 명당이 있다는 마을이다.
    4. 마수물 : 지명굴 동북쪽으로 마을에 옛날에는 큰 우물이 있다 해서 마수물이라고 부른다 한다. 마정(馬井)이라고도 부른다.
    5. 석은터 : 검은들 서북쪽으로 지정리(智井里) 1구에 자리한 마을로서 연안이씨(延安李氏) 묘를 쓸 때 쌀이 많이 썩었다 하여 써근터 석은터라고 부른다.
    6. 앞골 : 계산리(桂山里) 앞 위쪽으로 지정리(智井里) 2구에 자리한 마을로서 마을 지형이 오리가 알을 품고 있는 형국이라 압곡(鴨谷)이라고 부르다가 변하여 앞골이라고도 부른다.
    7. 금영동(金寧洞) : 함밧골 서쪽으로 김씨들이 마을을 이룩하였다 해서 금영동(金寧洞)이라고 부르며 변해서 김녕동, 지명골이라고도 부른다.
    8. 삼밭골 : 마전리(麻田里)라고도 부른다. 검은들 북쪽에 자리한 마을을 삼밭골, 마전동(麻田洞)이라고 부른다. 옛날에 삼을 많이 재배하고 생산한 마을이라 삼밭골, 마전동(麻田洞)이라고 부른다.
  • 백제 때는 사시량현(沙尸良縣)에 속했었다. 신라 때는 결성군(潔城郡)의 영현(領縣)인 신량현(新良縣)에 속했으며 고려 초엽엔 여양현(驪陽縣)에 속했었다. 그뒤 홍주에 속했다가 조선 초엽엔 홍주군(洪州郡)에 속했으며 조선 말엽엔 홍주군(洪州郡) 오사면(烏史面)의 지역으로서 대밭이 많았다 하여 대밭 또는 죽전(竹田)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죽중리(竹中里) 죽상리(竹上里) 죽하리(竹下里) 가중리(佳中里) 옥계리(沃溪里) 오동리(烏東里) 일부를 병합하여 죽전리(竹田里)라 해서 홍성군(洪城郡) 장곡면(長谷面)에 편입되었다.

    1. 은행나무뜸 : 대밭 동쪽 건너편마을을 홍죽 홍죽뜸이라고도 부르는데 옛날 이곳의 대밭이 홍주군(洪州郡)에 딸리었다 해서 홍죽(洪竹) 홍주뜸이라고 부르고 은행(銀杏)나무가 있었다 해서 은행나무뜸이라고 부른다.
    2. 봉치고개 : 사당골에서 광천읍 가정리로 가는 고개를 봉치고개라고 부른다. 고개에 옛날부터 봄이면 꿩이 많이 모여든다 한다. 그래서 봉치고개라고 부른다.
    3. 배다리 : 죽전리(竹田里)와 가송리(佳松里) 사이에 배다리라고 부르는 뜸이 있다. 옛날에는 이곳에 하천이 흘러서 배로 사람들이 왕래하였던 곳이라 배다리라고 부른다.
    4. 죽상리(竹上里) : 대밭 위쪽으로 자리한 마을은 위쪽에 자리해 있다 해서 죽상리(竹上里)라고 부르고 대밭 아래쪽 마을은 죽하리(竹下里) 대밭 복판에 있는 마을은 죽중리(竹中里)라고 부른다.
  • 백제 때는 사시량현(沙尸良縣)에 속했었다. 신라 때는 결성군(潔城郡)의 영현(領縣)인 신량현(新良縣)에 속했으며 고려 초엽엔 여양현(驪陽縣)에 속했다가 뒤에 홍주에 속했었다. 조선 초엽엔 홍주군(洪州郡)에 속했다가 조선 말엽엔 홍주군(洪州郡) 유곡면(酉谷面)의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명동(明洞) 시목리 명천동(鳴川洞) 월촌(月村) 내동(內洞) 화양리(花陽里) 마전리(麻田里)용연리(龍淵里) 각 일부를 병합하여 월촌(月村)과 명천(鳴川)의 뜻을 따서 월계리(月溪里)라 하고 홍성군(洪城郡) 장곡면(長谷面)에 편입되었다.

    1. 화양(花陽) : 화양섭이 행섭이라고도 부르는데 옛날엔 화양나무가 많았다 해서 화양(花陽) 화양섭이 행섭이라고 부른다.
    2. 점말 : 점촌(店村) 명동(明洞)이라고도 부르는데 옛날에 옹기그릇을 굽던 가마가 있었다 하여 점말이라고 부르며 점촌(店村)이라고도 부른다.
    3. 월촌(月村) : 마을 지형이 달처럼 생겼다 하여 월촌(月村)이라고 부른다.
    4. 우러내 : 월계리(月溪里) 1구에 자리한 마을로서 명천(鳴川)이라고도 부르는데 냇물이 급하게 흐르는 곳이므로 냇물이 소리를 내며 흐른다 하여 우러내 명천(鳴川)이라고 부른다.
    5. 용연(龍淵) : 월계리(月溪里) 2구에 자리한 마을로서 옛날에 용이 승천한 못이 있는 마을이라 용연(龍淵) 용못이라고 부른다.
  • 백제 때는 사시현(沙尸縣)에 속한 산골이었다. 신라 때는 결성군(潔城郡)의 영현(領縣)에 속했으며 고려초엽엔 여양현(驪陽縣)에 속했다가 뒤에 홍주에 속하였으며 조선 초엽엔 홍주군(洪州郡)에 속했었다. 조선 말엽엔 홍주군(洪州郡) 오사면(烏史面)의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성상리(城上里) 중촌(中村) 진방리(眞方里) 성중리(城中里) 성하리(城下里) 광제리(廣濟里) 죽하리(竹下里) 각 일부를 병합하여 광제(廣濟)와 성중리(城中里)의 이름을 따서 광성리(廣城里)라 하여 홍성군(洪城郡) 장곡면(長谷面)에 편입되었다.

    1. 사송정(四松亭) : 옛날에 마을 하천 좌측으로 큰 소나무 정자가 네 그루 서 있었다 해서 사송정(四松亭)이라고 불렀다 한다. 인류가 살기 시작한 것은 신라 때부터이고 이 마을은 고려 때는 축성(築城)한 여양현(驪陽縣)의 여양산성(驪陽山城)이었던 마을이다. 사송정(四松亭) 외에도 성평(城坪) 성중(城中) 상벌이라고도 부른다.
    2. 홈다리 : 중촌(中村)이라고도 부르는데 옛날에 큰 홈을 놓고 냇물의 물을 대서 농사를 지었으며 그 뒤로 사람이 다녔다 한다. 광성리(廣城里)의 중앙에 자리함으로서 중촌(中村)이라고 부른다.
    3. 동살미 : 성중(城中) 앞에 큰 동산이 있었고 그 아래에 마을이 있었다 해서 동살미라고 부르게 되었다 하는데 지금은 동산이 작아졌다 한다.
    4. 옥다랭이 : 성벌 남쪽이 되는데 여양현(驪陽縣)이 있을 때 옥(獄)이 있었던자리라 옥다랭이라고 부른다.
    5. 참뱅이 : 진방(眞方)이라고도 부르는데 옛날 가뭄 때는 무서운 질병이 돌 때도 이 마을만은 끄떡없었다 한다. 땅속으로 약수가 흐른다 하는데 더운물이 섞여 나올때도 있다 한다.
    6. 질마재 : 산형이 길마처럼 생겼다 해서 길마재라고 부르는데 영산(靈山)이 되지 못한 오서산(烏棲山)이 날이 구질구질한 날에는 운다고 하는데 산이 울 때 이 고개에서는 말의 울음소리가 들린다 한다.
    7. 약방논 : 고려 때 여양현(驪陽縣)의 약방(藥房)이 있었던 곳으로 전해오나 실은 약초를 키우던 밭으로 추정되는 논이다.
    8. 말샘 : 전해오는 말로는 말의 음부(陰部)를 닮았다 해서 그리 부르는데 참샘으로 통하며 이 샘에서 목욕을 하면 모든 질병이 없어진다 한다. 옛날에는 약수터로 소문이 나서 여러 곳에서 사람들이 모여들었었다 한다. 또한 물이 많아서 옛날에는 말(斗)로 퍼내도 물이 항상 넘친다 해서 말샘이라고 부른다 한다.
    9. 광제(光濟) : 마을이 자리한 곳에 넓은 벌판이 펼쳐져 있다 해서 광제(光濟)라고 부른다.
    10. 공판재 : 옛날에 나무꾼들이 여기 모여서 공을 찼다 하여 공판재라고 부른다.
    11. 탑상골 : 마을 앞산에 고려 때의 탑이 있었다 해서 탑상골이라고 부르는데 지금 그 탑은 땅에 묻혀 있다고 한다.
    12. 함박골 : 마을 형상이 함박처럼 생겼다 해서 함박골이라고 부른다.
    13. 공덕고개 : 고개를 올라 다니기가 가파라서 힘이 든다하여 공들여서 넘어 다니는 고개라 공덕고개라고 부른다 한다.
  • 백제 때는 사시량현(沙尸良縣)에 속했었다. 신라 때는 결성군(潔城郡)의 영현(領縣)인 신량현(新良縣)에 속으며 고려 초엽엔 여양현(驪陽縣)에 속했다가 뒤에 홍주에 속했었다. 조선 초엽엔 홍주군에 속했다가 조선 말엽엔 홍주군(洪州郡) 성지면(城枝面)에 속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상오리(上梧里) 반송리(盤松里) 중두리(中杜里) 하두리(下杜里)와 상두리(上杜里) 분토동(分土洞)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오(上梧)와 반송(盤松)의 이름을 따서 상송리(上松里)라 하여 홍성군(洪城郡) 장곡면(長谷面)에 편입되었다.

    1. 두리(杜里) : 상송리(上松里) 1구에 자리한 마을인데 마을의 앞과 뒤가 산으로 가로 막혀 아늑한 지대에 마을이 있다 해서 두리(杜里)라고 부른다. 두능리(杜陵里)라고도 부른다.
    2. 독고개 : 고개에 돌이 많이 있다 해서 독고개라고 부른다 한다.
    3. 반송(盤松) : 마을에 반송(盤松)이 있었다 해서 반송(盤松)이라고 부른다.
    4. 소루갯들 : 구전에 따르면 옛날에 소리개가 이곳에서 많이 살던 곳이라 소리갯들이라고 부른다.
    5. 두리주막 : 옛날엔 마을에 주막이 많이 있어서 두리(杜里)의 주막이라고 또는 두리주막이라고 불렀다 한다. 주촌(酒村)이라고도 부른다.
    6. 숯고개 : 옛날엔 지금의 고개 양쪽으로 참나무가 많아서 그 참나무로 숯을 구어 팔았다 하여 숯고개라고 부른다.
    7. 웃오미 : 도산리(道山里)의 위쪽에 자리해 있다 해서 뭇오미라고 부르는 마을이다.
    8. 중두(中杜) : 두리 복판에 자리한 마을은 중두(中杜)라고 부르고 중두(中杜) 아래 쪽에 자리한 마을을 하두(下杜)라고 부르는데 아래쪽에 자리해 있다 해서 하두(下杜) 가운데에 마을이 있다 해서 중두(中杜)라고 부른다.
    9. 방아다리 : 옛날에 물레방아간이 있었던 자리에 마을이 생기자 방아다리라고 불렀다 한다.
  • 신석기 시대부터 인류가 정착한 곳으로 삼한 시대에 마한의 부락사회국가인 사로국이 있었던 곳이다. 백제 때에는 사시량현(沙尸良縣)에 속했으며 신라 때에는 결성군(潔城郡)의 영현(領縣)인 신량현(新良縣)에 속했으며 고려 때는 여양현(驪陽縣)에 속했다가 뒤에 홍주에 속했다. 조선 초엽에 홍주군(洪州郡)에 속했으며 조선 말엽엔 홍주군(洪州郡) 얼방면의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상냉리(上冷里) 하냉리(下冷里) 학성리(鶴城里)와 화성면(化城面)의 옥계리(玉溪里) 일부와 유곡면(酉谷面)의 은동(隱洞) 수문리(水門里) 일부를 병합하여 산성(山城)이 있었던 곳이라 하여 산성리(山城里)라고 하고 홍성군(洪城郡) 장곡면(長谷面)에 편입되었다.

    1. 수문굴 : 골짜기에 마을이 있는데 마을 사방을 산이 둘러싸고 있어서 마치 마을이 숨은 것처럼 되어 있다해서 수문굴 숨은동 수문동(水門洞) 은동(隱洞)이라고 부른다.
    2. 솔미 : 마을에 소나무가 우거져서 항시 마을이 절경을 이루었다 한다. 소나무가 많은 마을이라 솔미라고 부른다.
    3. 반계(磻溪) : 마을 뒷산에 돌이 많고 마을 앞에는 맑은 물이 흐른다고 해서 반계(磻溪)라고 부르며 여양이라고도 부른다.
    4. 뒷굴 : 반계(磻溪) 마을의 뒤쪽에 자리해 있다해서 뒷굴 또는 후곡(後谷)이라고 부른다.
    5. 원굴 : 산성리(山城里)에서 으뜸 되는 마을로서 조선 때 관원이 상주하는 여양원(驪陽院)이 있었다 해서 원굴 원동(院洞)이라고 부른다.
  • 백제 때는 사시량현(沙尸良縣)에 속했었다. 신라 때는 결성군(潔城郡)의 영현(領縣)인 신량현(新良縣)에 속했으며 고려 초엽엔 여양현(驪陽縣)에 속했다가 뒤에 홍주에 속했었다. 조선 초엽엔 홍주군(洪州郡)에 속했다가 조선 말엽엔 홍주군(洪州郡) 성지면(城枝面)의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혁 때에 동리(東里) 신곤리(新昆里) 녹문리(鹿門里) 성중리(城中里) 아동(牙洞)의 일부를 병합하여 신곤(新昆)과 동리(東里)의 이름을 따서 신동리(新東里)라 하여 홍성군(洪城郡) 장곡면(長谷面)에 편입되었다.

    1. 성중(城中) : 성지면(城枝面)의 중앙지대에 자리해 있다 해서 성중(城中)이라고 부르는 마을이다.
    2. 신곤(新昆) : 옛날 이 근처에 묘를 쓰려면 여러 문중에서 이곳에 묘소를 설치하였다가 묘를 썼다하여 신곤(新昆)이라고 부른다 한다.
    3. 노루메기 : 날에 노루가 많았던 지역에 마을이 생기면서 노루메기라고 불렀다 하는데 마을 지형도 노루의목처럼 생겼다 한다.
  • 백제 때는 사시량현(沙尸良縣)에 속했었다. 신라 때는 결성군(潔城郡)의 영현(領縣)인 신량현(新良縣)에 속했으며 고려 때는 초엽에 여양현(驪陽縣)에 속했다가 뒤에 홍주에 속했었다. 조선 때는 초엽에 홍주군(洪州郡)에 속했다가 조선 말엽엔 홍주군(洪州郡) 오사면(烏史面)의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오서리(烏西里)와 오동리(烏東里) 죽하리(竹下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뒤의 오성산(烏城山)의 이름을 따서 오성리(五聖里)라 하여 홍성군(洪城郡) 장곡면(長谷面)에 편입되었다.

    1. 차돌배기 : 장곡면(長谷面) 오성산과 광천읍(廣川邑) 담산리 경계에 있는 차돌배기라고 부른다. 고개에 차돌이 많이 있다 해서 이 고개를 차돌배기라고 부른다.
    2. 오동리(烏東里) : 오산(烏山)마을 동쪽에 자리해서 마을을 오동리(烏東里)라고 부른다.
    3. 오산(烏山) : 오사니라고도 부르는데 오서산(烏棲山) 아래에 마을이 있다해서 오산(烏山)이라고 부른다.
    4. 오서리(烏西里) : 오산(烏山) 서쪽에 마을이 자리해 있다 해서 오서리(烏西里)라고 부른다.
  • 백제 때는 사시량현(沙尸良縣)에 속했었다. 신라 때는 결성군(潔城郡)의 영현(領縣)인 신량현(新良縣)에 속했으며 고려 때는 초엽에 여양현(驪陽縣)에 속했다가 뒤에 홍주에 속했었다. 조선 초엽엔 홍주군(洪州郡)에 속했다가 조선 말엽엔 홍주군(洪州郡) 성지면(城枝面)의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신리(新里) 중방리(中方里) 상풍리(上豊里) 하풍리(下豊里) 정동(井洞)과 분토동(分土洞) 산양리(山陽里)의 각 일부와 오산면(烏山面)의 광제리(光濟里) 일부를 병합하여 신리와 상풍(上豊)의 이름을 따서 신풍리(新豊里)라 이라고 부른다.

    1. 각디봉 : 새말 동쪽으로 산이 있는데 이 산을 각지봉 깍지봉이라고 부른다. 산에 와우형(臥牛形)의 명당이 있다는 산이다.
    2. 과연돌 : 들에 고인돌이 있었다 해서 고인돌이라고 부르는데 변해서 과연돌이라고 부른다. 신석기 시대의 무덤이 있었던 들인데 사로국에서 인류의 이동이 광성리(廣城里)쪽으로 이동한 것으로 보아 마한 말엽 백제 초기에 사람이 살았던 지역으로 추정되는 들이다.
    3. 기러깃재 : 상풍(上豊)에서 청양군(靑陽郡) 화성면(化城面) 수정리로 가는 고개를 기러깃재라고 부른다. 또한 기럭재. 서낭댕이 안티라고도 부르는데 오서산(烏棲山)의 동쪽에 위치해서 장곡(長谷) 쪽으로 1.54㎞ 화성쪽으로 1.5㎞ 도합 3㎞의 길이가 되는 고개로서 고개의 형국이 기러기가 날아오는 형국이라 기러깃재 지럭재 안티라고 부르며 또한 고개에 서낭당이 있다 해서 서낭댕이라고도 부른다.
    4. 매봉재 : 상풍(上豊) 서쪽으로 작은 산이 있는데 이 산을 매봉재라고 부른다. 산에 북지형의 명당이 있다 해서 지관들이 많이 찾아드는 산이다.
    5. 분토동(分土洞) : 신풍리(新豊里) 3구에 자리한 마을인데 마을엔 돌이 없고 분토(粉土)만 있었다 하여 분토동(分土洞) 분토골이라고 부른다.
    6. 중뱅이 : 중방(中方)이라고 부르는데 옛날에 중이 정해준 마을이라서 중뱅이라고 부른다.
  • 백제 때는 사시량현(沙尸良縣)에 속한 산골이었다. 신라 때는 결성군(潔城郡)의 영현(領縣)인 신량현(新良縣)에 속했으며 고려 때는 여양현(驪陽縣)에 속했다가 뒤에 홍주에 속했으며 조선 때는 초엽에 홍주군(洪州郡)에 속했다가. 조선 말엽엔 홍주군(洪州郡) 오사면(烏史面)의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송암리(松岩里) 가동리(佳東里) 가중리(佳中里) 죽상리(竹上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가동(街洞)과 송암(松岩)의 이름을 따서 가송리(佳松里)라 하여 홍성군(洪城郡) 장곡면(長谷面)에 편입되었다.

    1. 학배미 : 가실(佳室)과 저잔이 사이에 논이 있는데 이 논을 학배미라고 부른다. 학배미는 물이 풍부해서 학이 항시 논에 와서 놀곤 하였는데 학이 와서 머무르는 곳이라 학배미라고 부른다.
    2. 저잔이 : 가실(佳室)과 송암(松岩) 중간에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저잔이라고 부른다. 또한 저잔리 가중리라고도 부르는데 송암(松岩) 남쪽 양지(陽地)가 밝아서 새가 많이 모여든다 한다. 그래서 조잔리 저잔리라고도 부르며 마을 사이에 자리한 마을이라 가중리(佳中里)라고도 부른다.
    3. 구루물 : 가송리(佳松里) 2구에 구루물이란 마을이 있다. 구전에 따르면 구름만 끼어도 물이 풍족해진다는 마을로서 그래서 농사가 잘 된다 한다. 구름만 끼어도 물이 풍족해진다는 마을이라 구루물이라고 부른다 한다.
    4. 송암(松岩) : 가실(佳室) 남쪽의 마을에 소나무가 옛날에는 울창하게 우거져 있었다 해서 송암(松岩)이라고 부르는 마을이라 모개울리라고도 부른다.
    5. 가실(佳室) : 송암(松岩) 북쪽 마을을 가곡(佳谷) 가중리(佳中里)라고도 부르는데 산수가 수려하여 가인(佳人)이 편안하게 살 수 있는 마을이라 가실(佳室)이라고 부른다. 옛날에는 잘 사는 마을이라 기와집만 백여호가 즐비하게 서 있었다 하며 농가로서 성공한 사람들이 많았다 한다. 단양우씨(丹陽禹氏)들이 많이 산다.
    6. 상풍재 : 가송리(佳松里) 2구에 상풍재라는 뜸이 있다. 해마다 풍년이 드는 곳이라 상풍재라고 부른다.
    7. 말무덤 : 가송리(佳松里) 2구에 말무덤이라고 부르는 곳이 있다. 옛날 조선 때 싸움터에 나가서 장수는 죽고 말만 돌아와서 이곳에서 죽었다 하는데 마을 사람들이 파묻어 준 말무덤이라 한다.
    8. 검정바위들 : 가송리(佳松里) 검정 바위들이라고 부르는 들이 있다. 구전에 따르면 가송리(佳松里)에서 죽전리(竹田里) 사이로 검은 바위가 10여개 있었다 하여 그쪽으로 펼쳐진 들을 검정바위들이라고 부른다.
  • 백제 때는 사시량현(沙尸良縣)에 속했었다. 신라 때는 결성현(潔城縣)의 영현(領縣)인 신량현(新良縣)에 속했으며 고려 때는 초엽에 여양현(驪陽縣)에 속했다가 뒤에 홍주에 속했었다. 조선 때는 초엽엔 홍주군(洪州郡)에 속했었다가 조선 말엽엔 홍주군(洪州郡) 성지면(城枝面)의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하오리(下梧里) 대교리(大橋里) 도현리(道峴里) 분토동(墳土洞) 산양리(山陽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도현(道峴)과 산양(山陽)의 이름을 따서 도산리(道山里)라하고 홍성군(洪城郡) 장곡면(長谷面)에 편입되었다.

    1. 생미 : 오미(梧尾) 서남쪽의 마을을 성산(城山) 산양(山陽)이라고도 부르는데 마을에서 쌀이 잘 되고 땅이 기름져서 좋은 쌀을 생산하는 마을이라 생미라고 부른다 한다.
    2. 너븐이마 : 오미(梧尾) 동쪽의 마을을 너븐이마라고 부른다. 마을 앞에 넓은 바위가 있다 해서 너븐이마라고 부르며 또한 크 s다리가 있었다 해서 대교(大橋)라고도 부른다.
    3. 되재 : 오미(梧尾) 거북쪽의 고개너머에 마을이 있어 되재 도현(道峴) 도티라고 부른다.
    4. 오미(梧尾) : 생미 동북쪽의 마을을 오산(五山)이라고도 부르는데 마을에 외딴 산이 있으므로 오미(梧尾) 오산(五山)이라고 부른다. 아래쪽에 자리한 마을은 하오(下梧)라고 부른다. 오미(梧尾)는 옛날에 광주안씨(廣州安氏)한 사람이 오동나무를 많이 심고 키웠던 마을이라 한다.
    5. 가그마을 : 장곡면(長谷面) 도산리(道山里)에 가그마을이라고 부르는 마을이 있다. 옛날부터 가그매가 유심히도 많이 사는 마을이라 가그마을이라고 부른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