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홍성군청

행복이 가득한 지금 홍성은?
해당 콘텐츠와 관련된 유튜브 영상을 바로 보실 수 있습니다.

하단에 콘텐츠는 유튜브에 등록된 관련 영상을 불러와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부적절한 영상은 필터링을 통해 지속적으로 선별 합니다. 문제있는 영상은 신고해주세요!

신고하기

마을소개

용티[龍峙]의 무덤의 전설

장곡면 광성리에는 광성리와 화계리에 걸쳐 있는 사송정마을이 있는 바, 옛날 마을 하천 좌측으로 큰 소나무 정자 네 그루가 있다는 데서 유래된 이름이며, 광성리 중앙에 위치한 중촌, 성중, 큰 도산 아랫마을인 동살미,고려 여양현이 있을 때의 옥(獄)자리인 옥다랭이, 땅 속으로 약수가 흐르며 때로는 더운물이 섞여나온다는 참뱅이(辰方), 산형(山形)이 길마처럼 생겼으며 영산(靈山)이 되지 못한 오서산이 구질구질한 날에 우는 소리와 함께 말의 울음소리가 들린다는 질마재, 고려 여양현 때 약초를 키우던 약방논, 골짜기 안쪽 마을인 안골(內洞),옛날 서당이 있었다는 서당골, 말의 음부(陰部)를 닮은 샘에서 나오는 물에 목욕하면 병이 없어진다는 말샘, 넓은 벌판이 펼쳐진 광제, 나무꾼이 모여 공을 찼다는 공판재, 탑이 있었다는 탑산골, 지형이 함박처럼 생긴 함박골 등이 있다.

한편 장곡면 광성리 3구 오서산 중턱에 용제날 터라고 부르는 기우제의 제단(祭壇)이 있다. 날이 가물때에는 이곳에서 기우제를 지냈는데, 그 기우제를 용라고 부르며, 이 근처에 묘(墓)를 쓰면 몇 년이고 가문다 하여 묘를 못쓰게 말리고 있거니와 이에대한 이야기는 먼 옛날로 거슬러 올라 간다.

“세상에, 하느님도 무심하시지! 말라 비틀어지는 곡식도 안 보인다는 말인가?”“벌써 석달째 봄가뭄이니 어이한단 말인가!”마을 사람들은 쩍쩍 갈라지는 논배미와 하늘을 번갈아 바라보면서 깊은 한숨과 함께 하늘을 원망하는 소리를드높였다. 그리고 모두모여 또 다시 용티(龍峙)에 올라가 제사를 지내기로 하였다.

한편 그해의 이른 봄, 최부자댁에 노승(老僧)이 찾아와 앞에서 목탁을 두드리기 시작했다. 노승은 아침부터 온 마을을 찾아다녔지만 시주할공양미를 한 톨 얻지 못한 터이라 잔뜩 기대를 모은 채 최부자집을 찾은 것이었다. 노승의 목탁소리가 높아지고 염불소리가 울려퍼지자 솟을 대문이 슬그머니 열리면서 하인이 나왔다. 하인의 등에는 쌀 한가마니가 짊어져있었다. 시주할 쌀이라는 것이었다. 공양미를 받고난 노승이 굳이 최부자를 만나고자 하였다. 그리고 최부자를만나자 나지막한 소리로 말했다. 공양미에 대한 감사의 뜻이라면서 꼭 시행해보라는 것이었다. 그러자 최부자는“어느 쪽을 말씀하시는 것입니까? 그러한 명당자리라면 분명 인맥(人脈)의 자리가 아니겠습니까?”하고놀란 표정으로 외쳤다.“그렇소이다. 산줄기가 흘러내리다가 마지막에 이르러서 가뜩 힘을 주었으니 얼마나대단하겠습니까? 왼쪽에서는 청룡(靑龍)이 운무(雲霧)를 거느리며 용트림하고 있고, 오른쪽에서는 백호(白虎)한 마리가 바람을 데불고 비상하고 있습니다. 그 자리를 차지한다면 300년이야 영화를 누리고 남음이 있겠지요!”그날 밤 최부자는 하인 서너명을 이끌고 짙은 어둠속을 헤치며 종산(宗山)으로 올라갔다. 아버지의시신은 최부자와 하인의 손에 의하여 용티(龍峙)로 옮겨졌다. 일을 마친 최부자는 사방을 둘러보고는 아무도 보는 사람이 없음을 확인했다. 비로소 안심했다. 하인에게도 이장(移葬)의 사실을 발설해서는 안된다고 단단히 타일렀다. 그리고 최부자는 노승의 말을 되살리면서 회심의 미소를 머금었다. “용티에 이장을 하고 나면 집안에 큰 경사가 일어날 것입니다. 그러나 마을에는 재앙이 겹칠 것이니, 또다시 이장하여야 합니다. 반드시 다른 사람의 손에 이장하여야 되지요!”최부자가 아버지의 이장 사실을 숨기고, 하인들 또한 입을 다문 지 몇 날, 마을 사람들은 하늘을 우러르며 가뭄을 원망을 토해내면서도 기우제를 지내는 어느날, 최부자는 한양으로 올라간 큰아들의 장원급제 소식을 들었다. 최부자는 노승의 말을 또다시 떠올리며 기뻐서 어쩔줄 몰랐다. 곧 온 마을사람들에 사실을 알리고 큰 잔치를 배풀었다.

“그토록 정성으로 기우제를 드렸는데 물 한방을 내리지 않으니 용티에 부정이 들었는가 봐!”“그렇지, 그렇구 말고! 부정이 들었어. 부정이!”마을사람들은 음식상을 앞에놓고도 온통 기우제의 이야기와 가뭄의 이야기뿐이었다. 그러나 그런 이야기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최부자는 연신 맛있는 음식을 전하기에 여념이 없었다. 어서 빨리 마을사람들이 아버지의 시신을 이장해 주기를 바랐다.만약 마을사람들이 스스로 이장을 하면 노승의 말대로 이루게 되는 셈이기 때문이었다. 마침내 마을사람들은 모처럼 불러온 배를 끌어안고 용티로 오르기 시작하였다. 부정이 들었을 것이라는 데 의견을 모았기 때문이다. 용티에 올라온 마을 사람들은 깜짝 놀랐다. 뒤따라온 개 한 마리가 유난히도 짖어대기에 살펴보니 미처 뿌리를내리지 못한 뗏장이 덮혀져 있지 아니한가? 마을 사람들은 누가 먼저라 할 것도 없이 떼를 떼어내고 파헤쳤다. 그리고 그 자리에서 시체를 발견하였다. 마을 사람들은 그 시체가 부정의 원인이라고 하면서 시체를 용티아래에 이장을 하였다. 그날 저녁부터 정말 꿈처럼 비가 내렸다. 하늘을 무너뜨릴 듯한 매서운 천둥소리와 더불어 칼날같은 번개가 번쩍이면서 주먹만한 빗방울을 마구 쏟아부었다. 마을사람들은 뒤늦게나마 갈라진 논에 물을대고 갈아제낀 다음 모내기를 하였다. 근심의 소리와 한숨의 소리가 드높았던 마을에 어느덧 농부가가 울려퍼졌다.

며칠 후 최부자는 또다시 하인을 거느리고 어둠을 이용하여 아버지의 시신을 종산(宗山)에 묻었다. 얼마 후 벼슬길에 오른 최부자의 아들이 금의환향(錦衣還鄕)을 하였다. 그는 곧 최부자에게 큰 절을 올리고 용티에 올라가고자 하였다. 굳이 이유를 물었지만 아들은 아무런 대꾸도 하지 않았다. 최부자는 하는 수 없이아들의 뒤를 따라 용티에 올랐다. 용티에 오른 아들은 마침 시신을 꺼내어 웅덩이가 되어버린 자리를 보듬도록 하였다. 그리고 뒤다라온 하인을 시켜 그곳에 나무를 심도록 하였다. 나무를 심는 동안 맑던 하늘이 먹구름이 피어오르더니 순식간에 굵은 빗방울이 떨어지기 시작했다. “아버님, 명당자리가 파헤쳐져서는 자손에 경사가 생기지 않는다 하옵니다. 아버님을 뵈었던 노승의 말씀입니다. 명당을 썼으면 위로 치솟아 오르게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그후 최부자집은 운수가 대통한 듯 300여년을 영화를 누리고 살았고, 마을사람들은 농사철에 가뭄이라도 닥치노라면 기우제를 지낸 후 농사를 짓곤 하였다. 그리고 청룡과 백호가 용트림하고 비상하는 용티(龍峙)는 인맥(人脈)·천맥(天脈)·지맥(地脈)의 명당터라고 불리우고 있다.

峙 ‘산우뚝설 치’이나 지역민의 발음에 따르고자 ‘티’로 하였음 (구술자 : 서승석, 장곡면 광성리 3구)

홍성군지(1990.12.31발행) 증보판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