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美來路홍성군 문화관광

해당 콘텐츠와 관련된 유튜브 영상을 바로 보실 수 있습니다.

하단에 콘텐츠는 유튜브에 등록된 관련 영상을 불러와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부적절한 영상은 필터링을 통해 지속적으로 선별 합니다. 문제있는 영상은 신고해주세요!

신고하기

국가지정유산

홍성 홍주읍성

홍성 홍주읍성
  • 국가유산명 홍성 홍주읍성
  • 종별 사적
  • 지정일 1972.10.14
  • 주소 충남 홍성군 홍성읍 아문길 27

관련이미지

국가유산소개

홍주성은 백제의 주류성에 비정되고 있으나 초축년대는 확실히 알 수 없으며 고려시대까지도 홍주성 수 개축의 기록은 보이지 않는다. 다만 세종실록지리지에서 홍주읍성의 둘레가 533보2척(1보는 6척), 성내에 샘이 하나 있는데 여름이나 겨울에도 마르지 않는다고 하였다.
그런데 조선 초기의 문물제도의 정비와 중앙집권체제의 표현이라 할 지방행정구역의 개편과 왕실의 대행자라는 명분에 힘입어 각 관읍의 위엄도 동시에 갖추어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각 관읍의 읍성은 새로운 규모와 격식을 갖춘 성을 새로이 쌓게 되었는데 그 일환으로 문종 원년(1451)에 새롭게 수축한 홍주읍성의 규모는 성주 4,856척, 높이 11척, 여장이 608, 성내에 우물이 2, 작은 개울 1, 해자는 시설하지 않았으며, 본래보다 물려 쌓았다고 했다.
그 후 수축은 현종대에 한계수에 의하여 중수되고 순조 24년(1824)에 진장 김계묵과 목사 이헌규에 의해 수리되었는데 그런 사실을 수성기적비가 전한다. 또 고종 7년(1870) 목사 한응필이 조양문을 짓고 경의문, 망화문과 관영을 경영하였다. 문종대에 이 성에 문이 4개가 있었으나 남문에는 문루가 없었던 것이 특징이다. 현재의 조양문은 고종 7년(1870)에 한응필의 개수로부터 비롯되나 1955년 새로이 수축, 단장한 것이다. 또 홍주 아문은 조선시대 관아의 구조나 형태를 살필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되는 출입문이다.
홍주읍성은 삼국시대 이래 조선시대까지 읍터로서 크게 변동이 없었다는 점과 내포평야를 끼고 있어 시대적으로 많은 사연을 갖는다는 점, 조선 초 새로운 축성법에 의한 축성물이 현존한다는 점에서 보존의 가치와 축성법 연구에 가치가 크다고 하겠다. 산성은 주위가 최장 1,772m에 달하였으나, 많은 구간이 전면 훼철되고 810m의 구간만이 남아있고, 성내에 있던 관아의 건물이 36동에 이르렀으나, 그 중 조양문, 홍주아문, 안회당(동헌[東軒]), 여하정(余何亭)등 4동의 건물만이 현존하고 있다.

찾아오시는 길

"출처표시"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