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美來路이응노의 집

3기 입주작가

이응노의 집 창작스튜디오

‘젊은 이응노’의 예술적인 실험정신과 창작열의와 맞닿은 현대미술작가의 작업세계 확장

3기 입주작가

  • 입주작가 유영주 - 구분, 내용 정보제공
    구분 내용
    이름 유영주
    매체 비디오 사운드 퍼포먼스
    이메일 youngjooyoo12@gmail.com
    경력
    • 개인전
      • 2019 ‹라면아저씨의 사랑이야기›, 이응노의 집(충남 홍성)
      • 2018 ‹내 말이 들리나요?_part.5›, 탑골미술관(서울 한국)
      • 2017 ‹제목없는 전시회›, 서교예술실험센터(서울 한국)
      • 2016 ‹Can you hear me?_part.2›, 스페이스캔(서울 한국)
      • 2015 ‹Can you hear me?›, 문화공간 양(제주 한국)
    • 개인 프로젝트
      • 2018 The Third Space 9, 젬스타 코샬리나, 스우프스크, 폴란드
      • 2018 Traveler, Recollect Within the Mind (旅人 思よ いたせよ), 쿄토, 일본
      • 2016 무코지마 프로젝트 - Unfamiliarity of Intimacy, 도쿄, 일본
      • 2015 The Third Space 8, 400 Rutger Street, 유티카, 미국
      • 2015 The Third Space 7, 350 Whitesboro Street, 유티카, 미국
    • 단체전
      • 2020 ‹잘 알지도 못하면서›, 프로젝트 스페이스 17717(서울 한국)
      • 2019 ‹공공공 아트페어 2019›, 신촌박스퀘어(서울 한국)
      • 2018 ‹서울 국제 뉴미디어 페스티벌›, 아이공(서울 한국)
      • 2017 ‹ace NITE Voices›, 프로젝토 아쎄(부에노스 아이레스 아르헨티나)
      • 2017 ‹제1회 라고스 비엔날레›, (라고스 나이지리아)
      • 2017 ‹성북예술동_도시건축비엔날레›, 예술초소3(서울 한국)
      • 2016 ‹페미니즘 미디어 아티비스트 비엔날레›, 레인보우뷰브 갤러리(서울 한국)
    • 기타
      • 레지던시
        • 2020 ‹WAAW›, 생루이, 세네갈_ 아르코 해외레지던시 지원프로그램
        • 2019 ‹Sirius Art Centre›, 코브 아일랜드
        • 2019 ‹이응노의집 창작스튜디오›. 홍성군 고암 이응노 생가기념관
        • 2017 ‹프로젝토 에이스피랄›, 부에노스 아이레스, 아르헨티나_아르코 해외레지던시 지원프로그램
        • 2015 ‹ZK/U› 베를린 독일
    주요작품
    • <Can you hear me? from Buenos Aires>. 단채널 비디오. 15:06. 2017 / <라면 아저씨의 사랑이야기>. 단채널 비디오. 13:40. 2019

      ‹Can you hear me? from Buenos Aires›. 단채널 비디오. 15:06. 2017
      ‹라면 아저씨의 사랑이야기›. 단채널 비디오. 13:40. 2019

    • <내 말이 들리나요?_part.5>. 사운드. 12일간 총 28명의 갤러리내 라이브 인터뷰, 2018 <누가 자르뎅 두 퐁을 깨끗하게 만들었나?>. 단채널 비디오. 15:02. 2020

      ‹내 말이 들리나요?_part.5›. 사운드. 12일간 총 28명의 갤러리내 라이브 인터뷰,
      2018 ‹누가 자르뎅 두 퐁을 깨끗하게 만들었나?›. 단채널 비디오. 15:02. 2020

    • <Letters from Arizona>. 아리조나에서의 인터뷰 대화 내용을 서울의 전시장에 설치된 팩스로 전송한 글. 2017

      ‹Letters from Arizona›. 아리조나에서의 인터뷰 대화 내용을 서울의 전시장에 설치된 팩스로 전송한 글. 2017

    작가의 말 아름다움은 우리 주변 어디에나 있다. 그러나 그 아름다움이 영구적이지 않고 쉽게 사라져버리는 것이라면 어떻게 할 것인가? 그 아름다움이 우리가 소유하거나 잡을 수 없는, 순간들이라면 어떻게 할 것인가?

    나의 작업이 아름다움을 만들고 발견하는 것에서 아름다움을 경험하고, 그 아름다움에 참여하는 것으로 변화 되었을 때 나에겐 남겨진 숙제들이 있었다. 그것은 "어쩌면 일생에 단 한 번 밖에 없을 이 순간들의 느낌들을 어떻게 작업으로 옮길 수 있을까?" "이러한 순간들의 짜릿한 경험을 표현할 새로운 작업의 형식은 어떤 것이 있을까?" 나는 또한 "이러한 작업 방식에서 프레젠테이션이 과연 필요한 것인가?"에 대해서도 고민 중 이다.

    나는 현재 대화를 최대화하고 결과물의 생산을 최소화하기 위해 인터뷰, 콜렉티브, 사운드, 영상, 퍼포먼스, 텍스트를 활용 하고 있다.
  • 입주작가 이자연 - 구분, 내용 정보제공
    구분 내용
    이름 이자연
    매체 조각, 설치미술
    이메일 jayeon78@naver.com
    경력
    • 학력
      • 2007 ‹MFA. 경희대 일반대학원 미술학과 조소전공 졸업 / 서울
      • 2002 ‹BFA. 서원대학교 미술학과 조소전공 졸업 / 청주
    • 개인전
      • 2024 누구의 손으로 나를 키우는가, 충남창작스튜디오 / 태안
      • 2021 그날이 그날 같은-농사적 예술하기 project. 화이트블럭 천안창작촌 / 천안
      • 2019 붉은 촉-어떤 상황적 풍경 / 고암이응노생가기념관 / 홍성
      • 2019 고요할 적(寂). 갤러리 자인제노 / 서울
      • 2018 붉은 촉(觸). 스페이스 + 갤러리 / 안성
      • 2015 고요할 적(寂).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 청주
      • 2014 침묵의 비명. 스페이스 A, / 청주
      • 2010 사이의 간극. 아트팩토리 인 다대포 / 부산
      • 2008 그녀의 방 -' 세 가지 징후'.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 청주
      • 2008 그녀의 방 -' a gate'. 모리에서다 (다원예술공간) / 전주
      • 2008 그녀. 성보갤러리 / 서울
      • 2005 L양의 초상. 에스파스 다빈치 갤러리 / 서울
    • 기획 및 그룹
      • 2024 청호바람, 목포항국제여객터미널 / 목포
        작가의 농작(2인전), 스페이스로 / 서울
        사라지는것과 잊혀지는 시간-자연의 시간, 갤러리 수리치 / 공주
        공예의 숲, 청주시한국공예관 / 청주
      • 2023 ‹밖-앝, 두명마을 밭, /기장(부산)
        사라지는 것과 잊혀지는 시간. / 갤러리 수리치 / 공주
        꽃과 나무와 예술가. / 갤러리 수리치 / 공주
        ‘산 알’_살아있는 알의 생태 순환./ 두물머리 두물경 / 바깥미술회 / 양평
      • 2022 When you sing, you are where you are / 리각미술관 / 천안
        검은 안개 출근길에 새어 나오는 깔깔깔 웃음소리 / 광명문화재단 갤러리 / 광명
        「다시 봄 다시ː봄_연산문화창고, 돈암서원 /논산
      • 2020 Wellcome. 화이트블럭 천안창작촌 / 천안
      • 2019 디어식물:공존의 시작. 소다미술관 / 화성
        Storage_애니씽스페이스. 쉐마미술관 / 청주
        돌아보다. 부산자원순환협력센터 아트스페이스 / 부산
        춘풍나가사키에서Ⅹll. RING ART+ASPECT. 나가사키 브릭홀 갤러리 / 일본
      • 2018 대청호를 품은 대지와 사람들. 마불갤러리 / 청주
        사물의 영역. 스페이스 mn / 서울
        내가 사는 창, 부산 자원순환협력센터 / 부산
        납작한 가장자리. 청주시립대청호미술관 / 청주
        나무와 숲 그리고 달빛. 내설악예술인촌 공공미술관 / 인제
        8+9 2018. 피폭73년 나가사키에서. 나가사키현미술관. /일본
        예술을 품다. GGI갤러리/ 예끼마을. / 안동
        일상의 예술 : 오브제 , 뮤지엄 산 청조갤러리 / 원주 외 다수
    • 프로젝트 아카이브 영상 URL
      • 2023 삼베길쌈의 예술적 가치연구와 전수과정 워크숍 리포트
      • 2020-2024 농사적 예술하기 "그날이 그날 같은" 프로젝트
      • 2020 아트체인지 농사적 예술하기 프로젝트
    • 아티스트레지던시
      • 2024 충남창작스튜디오 1기 입주작가 / 충남
      • 2019 이응노의 집 3기 입주작가 / 충남
      • 2015 파주예술공장 1기 입주작가 / 경기
      • 2012 삼달리 마을 래지던시 1 기 입주작가 / 제주
      • 2010 아트팩토리 인 다대포 2기 입주작가 / 부산
      • 2008 청주 미술 창작 스튜디오 2기 입주작가 / 청주
    • 수상 & 작품소장
      • 2018 붉은 촉<觸> 청주시립미술관 작품소장
      • 2014 충북 젊은 작.가 창작작품 페스티벌 선정작가
      • 2004 에스파스 다빈치 갤러리 개인전 선정작가
      • 2009 예당호 조각공원 작품소장
    주요작품
    • 붉은 촉-어떤 상황적 풍경 _한지, 파라핀왁스, 콘크리트 블록, 인조이끼_ 가변설치. 2019. 고암이응노생가기념관

      붉은 촉-어떤 상황적 풍경 _한지, 파라핀왁스, 콘크리트 블록, 인조이끼_ 가변설치. 2019. 고암이응노생가기념관

    • 농사적 예술하기Project-그날이 그날 같은_ 4K 영상, 컬러, 사운드 2021. 화이트블럭 천안창작촌

      농사적 예술하기Project-그날이 그날 같은_ 4K 영상, 컬러, 사운드 2021. 화이트블럭 천안창작촌

    • 농사적 예술하기 프로젝트, 목화솜 Cotton  2021.화이트블럭 천안창작촌

      농사적 예술하기 프로젝트, 목화솜 Cotton 2021.화이트블럭 천안창작촌

    • 기억의 재생 Playback of Memory. Mixed Media(카세트 테이프)_가변설치_ 2016. 팔복예술공장/ 전주

      기억의 재생 Playback of Memory. Mixed Media(카세트 테이프)_가변설치_ 2016. 팔복예술공장/ 전주

    • 이자연_물질 (Substance)_자연물(목화밭 현장수집)_가변설치_2024. 충남창작스튜디오 전시동

      이자연_물질 (Substance)_자연물(목화밭 현장수집)_가변설치_2024. 충남창작스튜디오 전시동

    작가의 말 이자연 작가는 일상에서 마주치는 다양한 인과적 관계에서 드러나는 이야기와 자신의 내면풍경을 식물의 추상화로 확장하여 고요할 적(寂), 붉은 촉(觸) 시리즈로 작업하는 조각, 설치예술가이다. 최근 작업은 농사적 예술하기 프로젝트(2020~2023)로 농사가 주는 자연의 섭리를 작품으로 끌어들여 자연순환의 의미와 작품 재료를 생산하는 결과물이자 작품의 방향을 제시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현재 2024년에는 충남창작스튜디오 1기 입주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 입주작가 박용화 - 구분, 내용 정보제공
    구분 내용
    이름 박용화
    매체 회화
    이메일 poloxx@hanmail.net
    경력
    • 학력
      • 2012 가천대학교 대학원 회화과 졸업
      • 2010 배재대학교 미술학부 서양화 졸업
    • 개인전
      • 2024 나름 갖춰진 집, 공주문화예술촌, 충남 공주
      • 2024 공간 그리고 공간, 웃다리문화촌, 경기 평택
      • 2023 거친숨, 협업공간, 한치각, 경기 평택
      • 2023 진열된 그들의 풍경, 인디프레스, 서울
      • 2023 온전히 담아낼 수 없다, 이응노미술관아트랩, 대전
      • 2021 진열된 풍경, 아트스페이스127, 대전
      • 2020 미완의 모뉴먼트, 가창창작스튜디오, 대구
      • 2018 비인간적 동물원, 테미예술창작센터, 대전
      • 2017 Emotional Factory, 대안공간 눈, 수원
    • 그룹전
      • 2024 Artist_찯다, 잇다스페이스, 인천
      • 2024 AI대항展 시대와 예술가 정신, 이공갤러리, 대전
      • 2023 성남의 발견, 성남큐브미술관, 경기 성남
      • 2023 바다로, 아트스페이스 라프, 서울
      • 2023 와일드와일드웨스트, mM아트센터, 경기 평택
      • 2022 질문하는 그림들, 소다미술관, 경기 화성
      • 2021 미술원 우리와 우리사이, 국립현대미술관, 충북 청주
      • 2020 Here we are, 수창청춘맨숀, 대구
      • 2019 넥스트 코드, 대전시립미술관, 대전
    • 프로젝트
      • 2019~2020 드로잉 프로젝트 ‘Human cage’ 복정동 분수공원, 성남문화재단
      • 2019 드로잉 프로젝트 ‘Art space Zoo’ 안양삼덕공원, 안양문화재단
      • 2017 ‘Art bunker’ 프로젝트, 경기도 파주 일대, 지원: 경기문화재단 북부문화사업단
      • 2016 떠다니는 예술방주(Art Ark) 경기도 파주일대, 지원: 경기문화재단북부문화사업단
      • 2015 ‘정육점에서 발견한 감정이야기’ 농가축산정육점, 충남 홍성
    • 레지던시
      • 2024.02.-12. 공주문화예술촌, 입주작가, 충남 공주
      • 2022.07.-09. 에꼴드아미, 아미미술관, 충남 당진
      • 2021.07.-09. 수창청춘맨숀 3기 입주작가, 대구
      • 2021.04.-07. 테미오래 입주작가, 대전
      • 2020.02.-12. 가창창작스튜디오 입주작가, 대구
      • 2018.02.-12. 테미예술창작센터 5기 입주작가, 대전
      • 2015.07.-12. 경남예술창작센터 7기 입주작가, 경남 산청
      • 2015.03.-05. 홍성레지던시 프로그램, 충남 홍성
      • 2014.11.-12. 울산북구예술창작소 신진작가 입주, 울산
    • 수상
      • 국립현대미술관 정부미술은행, 평택문화재단, 아미미술관
    주요작품
    • 1. 갇힌 공간 열린 문 Oil on canvas_130.3ⅹ162.2cm_2024

      1. 갇힌 공간 열린 문 Oil on canvas_130.3ⅹ162.2cm_2024

    • 2. 그들이 사라진 집_Oil on canvas_162.2ⅹ260.6cm_2023

      2. 그들이 사라진 집_Oil on canvas_162.2ⅹ260.6cm_2023

    • 3. 죽어서도 틀에 박힌_Oil on canvas_100ⅹ80.3cm_2024

      3. 죽어서도 틀에 박힌_Oil on canvas_100ⅹ80.3cm_2024

    • 4. 공간 그리고 공간_mixed midea project_2024

      4. 공간 그리고 공간_mixed midea project_2024

    • 5. 자연의 인공적 재구성_ Gouache on paper_ 각20ⅹ30.5cm_ 2019

      5. 자연의 인공적 재구성_ Gouache on paper_ 각20ⅹ30.5cm_ 2019

    작가의 말
    • 공간의 재해석
      • 현재 작업은 일상의 경험이나 사건 속에서 발현된 생각들과 반응하는 감정으로 공간을 재해석하고 있다. 우리는 직간접적인 경험과 관계 속에서 다양한 감정을 만나며 살아간다. 이런 감정은 즉흥적 감각을 통해 이미지와 공간을 인지하고 작업으로 이어진다.
      • 나는 유년기부터 현재까지 주어진 상황이나 선택적으로 여러 공간을 이주하며 생활했다. 유목민적 삶을 통해서 작업을 대하는 태도는 자연스럽게 낯선 주변을 사물과 사건에 영향을 받았다. 그리고 공간은 감정을 담아 표현해 가는 실험실 역할을 했다. 이렇게 공간에 대하는 태도는 주변의 공간을 환유해 표현하거나 공간에 직접 찾아가 작업하는 형태로 확장해 나갔다.
      • 현재 진행하는 작업은 인간이 인지하고 있는 통상적인 생각들을 전복시키고 작품을 통해 이중적이고 불안한 시대의 본질적인 모습을 보여주고자 했다. 현시대의 모습은 작품 안에서 동물원 공간과 박제된 듯한 동물들의 낯선 조합을 이루게 하였는데 반지하에 살며 관람 당한 대상이 되어본 경험과 동물원을 배회하던 기억이 불안을 일으키는 이미지들과 교잡되어 화면을 구성하고 서사를 불어넣었다. 이는 현대사회를 이루는 물리적 혹은 보이지 않는 경계에서 갈등하는 내면의 본질을 점차 상실해 가는 현대인의 모습에 비유하려는 작업이다.
      • 매체는 회화를 기반에 두고 진행하고 있으며 회화에서 설치 혹은 프로젝트로 확장하여 장소와 공간 안에서 상황에 맞는 소재를 활용해 작업을 진행하기도 한다. 회화 작품은 한 화면에 담아내기도 하지만 연작으로 서사를 만들어 내기도 한다. 한 주제에서 파생된 다양한 조형언어들은 가변적인 설치 통해 설계했다. 소재는 탄력적인 구조를 가지면서 공간의 연출을 통해 관객과 만나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되기를 유도하고 있다. 설치나 프로젝트는 주로 작품의 개념을 만들어 가기 위한 과정인데 케이지를 제작해 관객들이 참여하거나 작품의 일부가 되어 공간을 재해석해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