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美來路홍성추모공원

따뜻한 동행 행복한 홍성

제사의 유래와 변천사

홍주성 역사관 사진
제사의 유래와 변천사

제사의 근원은 먼 옛날에 천재지변, 질병, 맹수의 공격을 막기 위한 수단에서 비롯되었다.

그러나 근세에 와서는 유교 사상으로 조상에 대한 존경과 애모의 표시로 변하게 되어 가정마다 제사를 드리게 되었다. 예서(禮書)에 따른 우리나라의 보편적인 제례는 사당제, 사시제, 이제, 기일제, 묘제의 다섯 가지가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서 관행되고 있는 제례의 종류는 일반적으로 차례(茶禮), 기제(忌祭), 시제(時祭)로 나누고 있다. 그 가운데 시제는 묘사로, 차례는 성묘의 형태로 되고 있다. 제사에 참석하는 사람은 고인의 직계 자손으로 하며 가까운 친척도 참석 한다. 원시시대 사람들은 자연 현상과 천재지변의 발생을 경이와 공포의 눈으로 보았으며 4계절의 운행에 따른 만물의 생성화육(生成化育)으로 인간이 생존할 수 있음을 감사하였다. 동시에 천(天) · 지 · 일 · 월 · 성신(星辰) · 산 · 천(川)에는 모두 신령이 깃들여 있다고 생각하여 신(神)의 가호로 재앙이 없는 안락한 생활을 기원하였는데, 이것이 제사의 기원이다.

제사는 인문(人文)의 발달에 따라 일정한 격식을 갖추었으며 이것이 곧 제례이다.

중국에서는 이미 요(堯) ·순(舜) 시대에 천신(天神) · 지기(地祇) · 5악(嶽) · 4독(瀆)을 제사한 기록이《서경(書經)》 《사기(史記)》 등에 실려 있다. 특히 동양에서는 윤리 도덕 관념의 앙양과 함께 조상숭배가 크게 성행하여 조상에 대한 제례가 하(夏) ·은(殷) 시대를 거쳐 주대(周代)에 확고하게 갖추어졌다. 한국에서 제례의 시초는 부여(夫餘)에서 영고(迎鼓)라 하여 12월에 하늘에 제사하였고, 고구려에서는 동맹(東盟)이라 하여 10월에 하늘에 제사지냈으며, 동예(東濊)에서는 무천(舞天)이라 하여 10월에 하늘에 제사지낸 기록이 있다.

마한(馬韓)에는 소도(蘇塗)라는 신역(神域)이 있어 솟대를 세우고 북과 방울을 달아 천군(天君)이 신을 제사지냈다.

신라에서는 남해왕(南解王) 때에 혁거세묘(赫居世廟)를 세우고 혜공왕(惠恭王) 때에 5묘(廟)의 제도를 정했으며 산천도 제사지냈다. 백제에는 동명묘(東明廟)가 있었다.

고려시대에 중국의 제도를 본떠 원구(丘:천신을 제사지내는 원형의 단) · 방택(方澤:지기를 제사지내는 사각형의 단) ·사직(社稷) · 종묘(宗廟) · 능침(陵寢) · 선농단(先農壇) · 선잠단(先蠶壇) · 문선왕묘(文宣王廟:공자의 사당) · 마조단(馬祖壇) · 사한단(司寒壇:氷神을 모신 단) 등을 설치하고 예절을 갖추어 제사지냈다.

그리고 명산 · 대천 · 우사(雨師) · 운사(雲師) · 뇌사(雷師) 등도 제사지냈다.

조선시대에도 원구와 방택만을 제외하고 고려의 제도를 그대로 따랐다. 사가(私家)의 제례는, 고려시대에는 대부(大夫) 이상은 증조까지 3대, 6품(品) 이상의 벼슬아치는 할아버지까지 2대, 7품 이하의 벼슬아치와 평민은 부모만을 가묘(家廟)를 세워 제사지내게 했으나, 조선시대에 이르러 《주자가례(朱子家禮)》에 근거를 두어 신분을 가리지 않고 고조까지 4대를 봉사(奉祀)하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