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美來路이응노의 집

3기 입주작가

창작스

‘젊은 이응노’의 예술적인 실험정신과 창작열의와 맞닿은 현대미술작가의 작업세계 확장

3기 입주작가

  • 입주작가 유영주 - 구분, 내용 정보제공
    구분 내용
    이름 유영주
    매체 비디오 사운드 퍼포먼스
    이메일 youngjooyoo12@gmail.com
    경력
    • 개인전
      • 2019 ‹라면아저씨의 사랑이야기›, 이응노의 집(충남 홍성)
      • 2018 ‹내 말이 들리나요?_part.5›, 탑골미술관(서울 한국)
      • 2017 ‹제목없는 전시회›, 서교예술실험센터(서울 한국)
      • 2016 ‹Can you hear me?_part.2›, 스페이스캔(서울 한국)
      • 2015 ‹Can you hear me?›, 문화공간 양(제주 한국)
    • 개인 프로젝트
      • 2018 The Third Space 9, 젬스타 코샬리나, 스우프스크, 폴란드
      • 2018 Traveler, Recollect Within the Mind (旅人 思よ いたせよ), 쿄토, 일본
      • 2016 무코지마 프로젝트 - Unfamiliarity of Intimacy, 도쿄, 일본
      • 2015 The Third Space 8, 400 Rutger Street, 유티카, 미국
      • 2015 The Third Space 7, 350 Whitesboro Street, 유티카, 미국
    • 단체전
      • 2020 ‹잘 알지도 못하면서›, 프로젝트 스페이스 17717(서울 한국)
      • 2019 ‹공공공 아트페어 2019›, 신촌박스퀘어(서울 한국)
      • 2018 ‹서울 국제 뉴미디어 페스티벌›, 아이공(서울 한국)
      • 2017 ‹ace NITE Voices›, 프로젝토 아쎄(부에노스 아이레스 아르헨티나)
      • 2017 ‹제1회 라고스 비엔날레›, (라고스 나이지리아)
      • 2017 ‹성북예술동_도시건축비엔날레›, 예술초소3(서울 한국)
      • 2016 ‹페미니즘 미디어 아티비스트 비엔날레›, 레인보우뷰브 갤러리(서울 한국)
    • 기타
      • 레지던시
        • 2020 ‹WAAW›, 생루이, 세네갈_ 아르코 해외레지던시 지원프로그램
        • 2019 ‹Sirius Art Centre›, 코브 아일랜드
        • 2019 ‹이응노의집 창작스튜디오›. 홍성군 고암 이응노 생가기념관
        • 2017 ‹프로젝토 에이스피랄›, 부에노스 아이레스, 아르헨티나_아르코 해외레지던시 지원프로그램
        • 2015 ‹ZK/U› 베를린 독일
    주요작품
    • <Can you hear me? from Buenos Aires>. 단채널 비디오. 15:06. 2017 / <라면 아저씨의 사랑이야기>. 단채널 비디오. 13:40. 2019

      ‹Can you hear me? from Buenos Aires›. 단채널 비디오. 15:06. 2017
      ‹라면 아저씨의 사랑이야기›. 단채널 비디오. 13:40. 2019

    • <내 말이 들리나요?_part.5>. 사운드. 12일간 총 28명의 갤러리내 라이브 인터뷰, 2018 <누가 자르뎅 두 퐁을 깨끗하게 만들었나?>. 단채널 비디오. 15:02. 2020

      ‹내 말이 들리나요?_part.5›. 사운드. 12일간 총 28명의 갤러리내 라이브 인터뷰,
      2018 ‹누가 자르뎅 두 퐁을 깨끗하게 만들었나?›. 단채널 비디오. 15:02. 2020

    • <Letters from Arizona>. 아리조나에서의 인터뷰 대화 내용을 서울의 전시장에 설치된 팩스로 전송한 글. 2017

      ‹Letters from Arizona›. 아리조나에서의 인터뷰 대화 내용을 서울의 전시장에 설치된 팩스로 전송한 글. 2017

    작가의 말 아름다움은 우리 주변 어디에나 있다. 그러나 그 아름다움이 영구적이지 않고 쉽게 사라져버리는 것이라면 어떻게 할 것인가? 그 아름다움이 우리가 소유하거나 잡을 수 없는, 순간들이라면 어떻게 할 것인가?

    나의 작업이 아름다움을 만들고 발견하는 것에서 아름다움을 경험하고, 그 아름다움에 참여하는 것으로 변화 되었을 때 나에겐 남겨진 숙제들이 있었다. 그것은 "어쩌면 일생에 단 한 번 밖에 없을 이 순간들의 느낌들을 어떻게 작업으로 옮길 수 있을까?" "이러한 순간들의 짜릿한 경험을 표현할 새로운 작업의 형식은 어떤 것이 있을까?" 나는 또한 "이러한 작업 방식에서 프레젠테이션이 과연 필요한 것인가?"에 대해서도 고민 중 이다.

    나는 현재 대화를 최대화하고 결과물의 생산을 최소화하기 위해 인터뷰, 콜렉티브, 사운드, 영상, 퍼포먼스, 텍스트를 활용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