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단에 콘텐츠는 유튜브에 등록된 관련 영상을 불러와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부적절한 영상은 필터링을 통해 지속적으로 선별 합니다. 문제있는 영상은 신고해주세요!
농약과 비료 등 화학자재 사용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여 환경을 보전하고 안전한 농산물을 지속적으로 생산하는 농업을 말합니다.
국제 농업환경과 국내 소비자의 기호변화 그동안 증산위주로 농약, 비료에 의존한 결과 농업환경이 악화되어 지속적인 농업생산에 위협을 느끼고 있어 환경과 조화된 친환경농업 실천이 필요합니다.
친환경농산물 인증 종류(3종류) - 유기농산물, 무농약농산물, 저농약농산물
축산물도 새로운 인증기준을 마련하여 인증을 받게 됩니다. - 유기축산물, 무항생제축산물로 표기 가능
종류 | 기준 |
---|---|
유기농산물 |
|
무농약농산물 |
|
저농약농산물 |
|
친환경 농산물 종류명칭을 쓰는 곳에 유기농산물은 녹색, 전환기유기농산물은 연두색, 무농약농산물은 하늘색, 저농약농산물은 주황색을 사용합니다.
3년이상 농약,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고 재배한 농산물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재배한 농산물
농약을 1/2이하로 사용하여 재배한 농산물
그 동안 오리농법 벼농사 위주의 생산에서 채소, 과수, 특작축산물 등 소비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품목의 친환경농산물 생산으로 변화해야 합니다.
친환경농산물의 판매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신뢰입니다. 그 동안 쌓아올린 이미지가 단 한번, 단 한사람의 과실로 공든탑이 무너질 수 있으므로 농업인은 최고의 안전한 농산물을 만든다는 자부심을 갖고 생산하여야 하며 각자, 작목반별 자율감시 노력이 있어야 합니다.
주요 사업명 | 대상자 | 사업 내용 |
---|---|---|
친환경 인증비 지원 | 친환경 인증농가, 법인 | 무농약, 유기농 등 인증실비의 50%지원 (농가자담 50%) |
친환경 농자재 지원 | 오리, 우렁이, 퇴비, 유박 등 친환경농자재 구입비의 50%지원 (농가자담 50%) | |
친환경 직불금 지원 | 1,000㎡당, 논(유기 6만원, 무농약 4만원), 밭(유기 12만원, 무농약 10만원) 직불금 지원 | |
유기농 생산단지육성 | 5인이상 작목반, 법인 등 | 3ha이상 단지에 하우스, 관정, 집하장, 저온저장고 등 필요한 농시설, 농기계 사업비의 70%지원 (농가자담 30%) |
친환경농업 지구조성 | 10인이상 작목반, 법인 등 | 10ha이상 지구에 관정, 집하장, 저온저장고 등 필요한 농시설, 농기계 사업비의 80%지원 (농가자담 20%) |
수입개방에 따라 출처를 알 수 없는 외국농산물이 밀려옴에 따라 우리 농산물의 경쟁력을 높이는 친환경농산물을 생산하여 공급함으로써 생산자와 소비자가 함께 보호되는 산업으로 육성해 나가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