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홍성군청

충남이면 충분해 와wow! 2025~2026 충남방문의해
해당 콘텐츠와 관련된 유튜브 영상을 바로 보실 수 있습니다.

하단에 콘텐츠는 유튜브에 등록된 관련 영상을 불러와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부적절한 영상은 필터링을 통해 지속적으로 선별 합니다. 문제있는 영상은 신고해주세요!

신고하기

홍성 저탄소·유기농업특구 개요

특구 개요
  • 특구명칭홍성 저탄소·유기농업 특구
  • 특구위치충청남도 홍성군 홍동면 구정리 55-5 외 2,725필지
  • 특구면적5,793,091㎡
  • 특구지정기간2014년 ~ 2027년
  • 특화사업자홍성군수

특구 대외적 표시방법

  • 한글 : 『홍성 저탄소·유기농업 특구』
  • 영문 : HongSeong Low Carbon Organic Agriculture Special Zone

특구 지정사유

  • 브랜드 가치 제고 및 생산기반 조성을 통한 지속가능한 농업 발전
    • 전국 제일의 유기농업단지의 지속성 확보 및 브랜드 가치 제고를 통해 유기농산물의 안정적 생산체계 구축 및 생산기반 확대, 이를 통한 농업인 소득증대와 지속가능한 유기농업 활성화 방안 마련
    • 생태계 보전과 온실가스 배출 감소를 통해 기후위기 예방 및 국민 건강증진에 기여하는 지속가능한 저탄소·유기농업 확대
  • 지역산업과의 연계를 통한 창조경제 실현
    • 특구 지정에 따른 유기농산물 생산·가공기반 시설의 정비, 유통 구조 개선, 작물별 소비자체험형 축제 진행 등 유기농산물의 생산·가공·유통·체험·관광을 효율적으로 결합하는 6차 산업화를 통해 지역의 창조경제 확산

규제특례 및 활용내용

지역특구법에 따른 7개의 규제특례 적용

※ 규제자유특구 및 지역특화발전특구에 관한 규제특례법(약칭: 지역특구법)

  • 지역특구법 제33조(도로교통법에 관한 특례)
    • 행사·축제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차량의 도로통행 금지 및 제한
  • 지역특구법 제36조(농지법에 관한 특례)
    • 유기농산물 생산 확대를 위해 농지의 위탁경영, 임대차 또는 사용대 기준 완화
  • 지역특구법 제45조(도로법에 대한 특례)
    • 행사·축제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안내시설, 행사장 홍보물 등 설치를 위한 도로점용 허용
  • 지역특구법 제52조(농산물 품질관리법에 관한 특례)
    • 유기농산물 등에 대한 지리적 표시 신청 우선 심사
  • 지역특구법 제68조(식품 등의 표시ㆍ광고에 관한 법률에 관한 특례)
    • 유기식품에 대한 표시기준을 따로 규정
  • 지역특구법 제34조(옥외광고물법에 관한 특례)
    • 유기농업 특화사업 관련 지주이용간판의 크기 및 이격거리 제한 완화
  • 지역특구법 제44조(국토계획법에 관한 특례)
    • 유기농업 특화사업 관련 신축 건축물에 대하여 건폐율과 용적률 제한 완화

총사업비

1,068억원(국비 113.4, 도비 240.4, 군비 516.8, 민자 197.4)

연도별 사업비(2014년~2024년까지 투자 80,898백만원)

총사업비 - 구분, 총사업비(A=B+C), 2021년까지 실적 사업비(B), 연장 3년간 투자사업비(계(C), 2022, 2023, 2024), 비고로 나누어 설명합니다
구분 총 사업비 (A=B+C) 2024년까지 실적사업비(B) 연장 3년간 투자사업비 비 고
계(C) 2025 2026 2027
합계 106,796 80,898 25,898 9,839 8,364 7,695
국비 11,342 8,753 2,589 1,315 792 482
도비 20,042 17,313 6,729 2,403 2,202 2,124
군비 51,679 36,431 15,248 5,477 5,026 4,745
민자 19,733 18,401 1,332 644 344 344

특화사업별 사업비

(단위 : 백만원)

특화사업별 사업비 - 특화사업, 세부사업, 총사업비, 2021까지 실적, 연장 3년간 사업비 (계, 2022, 2023, 2024)로 나누어 설명합니다.
특화사업 세부사업 총사업비 2024까지 실적 연장 3년간 사업비
2025 2026 2027
합계 106,796 80,898 25,898 9,839 8,364 7,695
고품질 생산기반 조성 소계 32,279 23,311 8,968 4,092 2,662 2,214
유기농산물 품질향상지원(완료) 11,303 11,303 0 0 0 0
유기농산물 생산단지조성 4,707 2,278 2,429 1,763 333 333
유기농산물 가공 지원 7,556 6,836 720 240 240 240
농가교육 및 컨설팅 지원 2,332 1,265 1,067 355 355 357
친환경농업 인재양성 4,917 1,629 3,288 1,096 1,096 1,096
지속가능한 저탄소·친환경 농업환경보전(신규) 1,464 0 1,464 638 638 188
유통활성화 및 브랜드 가치제고 소 계 74,517 57,587 16,930 5,747 5,702 5,481
내수활성화 유통지원 8,552 7,733 819 273 273 273
학교급식을 통한 유통활성화 54,535 43,483 11,052 3,684 3,684 3,684
유기농산물 해외수출 개척 지원 3,250 2,267 983 321 331 331
내포천애공동브랜드 활용 4,558 3,118 1,440 480 480 480
지리적 표시 등록 300 200 100 0 100 0
유기농관광체험 연계 2,895 786 2,109 703 703 703
사회적농업 지원(신규) 427 0 427 286 131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