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홍성군청

행복이 가득한 지금 홍성은?
해당 콘텐츠와 관련된 유튜브 영상을 바로 보실 수 있습니다.

하단에 콘텐츠는 유튜브에 등록된 관련 영상을 불러와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부적절한 영상은 필터링을 통해 지속적으로 선별 합니다. 문제있는 영상은 신고해주세요!

신고하기

지명유래

  • 고려 때는 홍주 고을에 속했었다. 백제 때는 금주군에 속했으며, 신라 때는 해풍현에 속했었다. 조선 초엽 때는 홍주군에 속했다가 조선 말엽엔 홍주군 주북면의 지역이었다. 북사리 남관리와 주남면 마구형리(馬口形里), 영암리(靈岩里), 고모리(古毛里) 및 죽전리 · 역티리, 피목동(皮木洞) · 학교리 · 하장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고모와 영암의 이름을 따서 고암리라 해서 홍양면에 편입되었다. 1940년 10월 1일 읍승격에 따라, 홍성읍 고암리가 되었다.

    1. 고모랭이 : 옛날, 비룡산(飛龍山) 아래 용천(龍泉)에 용이 살고 있었다. 아들이 자람에 따라, 그 아들을 따로 분가시키기 위하여, 아래 연못으로 보낼 때, 어미 용이 말하기를 용천을 떠나는 지금 네가 살아야 할 못까지 갈 때는 절대로 뒤를 돌아보지 말라고 하였으나, 새끼용은 한참 가다가 어미 용이보고 싶어서 뒤를 돌아봤다 한다. 새끼용이 뒤를 돌아보자 별안간 천둥이 울리더니 새끼용에게 벼락이 떨어져 새끼용은 죽고 그 자리에 바위가 솟아 났다 한다. 그래서, 이곳에 사는 마을 사람들이 새 끼용을 위로하기 위하여, 바위에게 제사를 지내 주며, 마을 이름을 고모령(顧母嶺)이라 불렀다 한다. 그 후, 변해서 고모령, 고모랭이 또는 고모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화성최씨(花城崔氏)가 처음 살은 마을이며, 경주이씨(慶州李氏)들이 많이 산다.
    2. 영암(靈岩) : 신령한 바위가 있는 마을이라 영암 또는 영암리라고 부른다. 옛날에는 바위 산신제도 지냈다 한다.
    3. 역재 : 조선 초에 세천역(世川驛)이라고 부르는 역이 있었다 해서, 역재 또는 역티라고 부르는데, 이곳에 있었던 역은 성종때 지금의 홍동면(洪東面) 세천리로 옮겨 갔다.
    4. 세계다랑이 : 구수고개 아래에 세계다랑이라고 부르는 논이 있다. 옛날에 이 논에 모를 심게 되면, 풍년이 들어 세계(稅契)가 내리고, 모를 못심게 되면, 흉년이 들어서 세계(稅契)가 오른다 하여, 표준(標準)을 잡았던 논이라, 세계다랑이라고 부른다.
    5. 구수고개 : 마구형의 말의 굿에 해당되는 지형이라, 구수고개라고 부른다.
    6. 역통(驛通) : 역으로 통하는 길가에 마을이 있다 해서 역통이라 부른다. 동경주(東京舟)라고도 부른다.
    7. 마구형(馬口形) : 마을 지형이 말의 입처럼 생겼다 해서, 마구형이라고 부르는데 온양정씨(溫陽鄭氏) 들이 많이 산다.
    8. 마살미 : 산의 모양이 말처럼 생겼다 해서, 마살미 또는 마산(馬山)이라고 부른다
  • 고려 때는 홍주 고을에 속했었다. 백제 때는 금주군에 속했으며, 신라 때는 해풍현에 속했었다. 조선 때는 초엽에 홍주군에 속했다가 조선 말엽엔 홍주군 송지곡면(松枝谷面)의 지역으로서, 서구리(西龜里), 신동(新洞), 월천리(月天里), 천변리(천변리), 용지리(龍池里), 동구리(東龜里), 사성리(巳城里), 독귀리(獨貴里) 및 금동면(金洞面) 내기리(內基里)와 평면(坪面)내기리(內基里)의 각 일부를 병합, 동구(東龜)와 용지(龍池)의 이름을 따서, 구룡리(龜龍里)라 하여, 홍성군 홍동면에 편입외었다. 그러다가, 1983년 2월 15일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홍성읍으로 편입되었다.

    1. 구산(龜山) : 산의 모양이 거북이가 움츠리고 있는 모양이라, 구산이라고 부른다. 구산은 산세가 좋아서 명당 자리가 많다 하여, 예부터 지관들이 자주 드나들던 산이며, 예부터 명관(名官)들의 묘지로 많이 선택되었던 곳이다.
    2. 천변 : 마을이 냇가에 자리한 마을이라 천변이라고 부른다. 구산의 서쪽에 자리해 있다 해서, 서구산(西龜山) 또는 서구(西龜)라고도 부른다.
    3. 배암성(倍岩城) : 마을 뒷산이 배암처럼 생겼다 해서, 배암성 또는 사성이라고 부른다
    4. 동구(東龜) : 구산의 동쪽에 자리한 마을이라, 동구라고 부른다. 동구산(東龜山)이라고도 부른다.
    5. 용모랭이 : 옛날에 하늘로 승천을 못한 이무기가 살면서 많은 사람을 해쳤는데, 하루는 이곳을 지나던 어느 도승이 그 이무기를 죽이는 방법을 가르쳐 주어서, 소금과 사금피리로 잡아 죽였다는 전설이 전해 내려오는 곳이다.
  • 고려 때는 홍주 고을에 속했었다. 백제 때는 금주군에 속했으며, 신라 때는 해풍현에 속했었다. 조선 때는 초엽에 홍주군에 속했다가, 조선 말엽엔 홍주군 주남면(州南面)의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상장리(上長里), 하장리(下長里), 남산리(南山里) 및 역티리의 각 일부와 주북면의 남관리(南官里) 일부를 병합, 남산과 상장 및 하장의 이름을 따서, 남장리라 하여 홍양면에 편입되었다. 1940년 10월 1일 읍승격에 따라, 홍성읍 남장리가 되었다.

    1. 구름다리 : 옛날 하장리에는 서민들이 많이 있었고, 구름다리에는 양반들이 많이 살고 있었는데, 하장리 사람들이 구름다리를 지날 때면 굽신거리기가 싫어서 구름다리라도 타야겠다고 전해왔는데, 끝내는 구름다리가 마을에 남게 되었다고 한다.
    2. 남산리 : 남산 아래에 있다 해서, 남산리라고 부른다.
    3. 상장 : 장준이 위 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상장이라고 부른다.
    4. 장준이 : 남장리에서 가장 큰 마을이다. 장중천 곁에 있는 마을이라 해서 장준이라고 부른다.
    5. 새말 : 마을이 새로 생겼다고 해서, 새말이라고 부른다.
  • 고려 때는 홍주 고을에 속했었다. 백제 때는 금주군에 속했ㅇ으며, 신라 때는 해풍현에 속했었다. 조선 초엽에는 홍주군에 속했다가 조선 말엽엔 홍성읍 홍천면(洪天面)의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공암리(孔岩里), 법수리(法首里), 내기리(內基里) 및 봉수리(鳳首里) · 어경리(漁耕里) · 내동(內洞)의 각 일부를 병합, 내법리라 해서 홍성군 홍북읍(洪北面)에 편입되었다. 그러다가, 1983년 2월 15일 행정구역개편에 따라, 홍성읍에 편입되었다.

    1. 휘면동 : 마을이 후미진 곳에 자리해 있으므로, 휘면동 또는 후민동이라고 부른다.
    2. 회사뜸 : 지난 날에 금을 캐내는 채금회사(採金會社)가 자리하였던 마을이라, 희사뜸이라고 부른다.
    3. 집상굴(執喪窟) : 옛날 효자 한 사람이 이 곳에 아버지의 묘를 쓰고, 삼년간 집상하였던 골짜기라, 집상굴이라고 부른다.
    4. 집때울 : 마을에 집대가 있었다 해서, 집때울이라고 부른다. 마을에 물레방아가 있었다 해서, 방아굴 이라고도 부른다.
    5. 종장리(從長里) : 종쟁이라고도 부르는 마을인데, 마을에 자리한 집들이 띄엄 띄엄 산 아래로 쭉 뻗어있는 마을이라, 종장리 또는 종쟁이라 부른다.
    6. 솔모랭이 : 모퉁이에 소나무가 우거져서 운치를 돋구는 모퉁이로서, 소나무가 많은 모퉁이라, 솔모랭이라고 부른다.
    7. 법수 : 법수머리라고도 부르는, 마을에 숲이 많았던 마을이라 한다.
    8. 도토성이 : 조선 중엽에 이곳에 토성을 쌓고 돼지를 길렀다 해서, 도토성이 또는 저성(抵城)이라고 부른다.
    9. 공암(孔岩) : 바위에 구멍이 뚫려 있다 해서, 공암 또는 구멍바위라고 부른다. 구멍바위가 자리한 마을도 바위지명에 따라, 공암 또는 구멍바위라고 부른다. 변해서 구매바위라고 부른다.
  • 고려 때는 홍주 고을에 속했었다. 백제 때는 금주군에 속했으며, 신라 때는 해풍현에 속했었다. 조선 때는 초엽에 홍주군에 속했다가 조선 말엽엔 홍주군 주북면의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주동(注洞), 종장리(從長里), 가좌동(佳佐洞), 대간동(大干洞) 및 향산리(香山里) ? 북사리(北社里) ? 교동(校洞) 각 일부를 병합하여 대간동(大干洞)과 교동(校洞)의 이름을 따서, 대교리라 하여 홍양면에 편입되었다. 1940년 10월 1일 읍승격에 따라, 홍성읍 대교동이 되었다.

    1. 종쟁이 : 종장리라고도 부르는데, 지형이 길게 뻗쳐있다 해서, 종쟁이라고도 부른다.
    2. 매봉 : 산에 매처럼 생긴 바위가 있다 해서, 매봉이라고 부른다.
    3. 교동 : 마을에 홍주향교가 있어서, 교동이라고 부른다.
    4. 간동(諫洞) : 옛날에 대간(大諫)벼슬을 지냈던 사람이 살았다 하여, 간동, 대간동(大諫洞) 또는 대간동 (大干洞) 이라고 부른다.
    5. 가재울 : 마을에 유명한 우물이 있어, 조선 선조 때, 홍주목사 홍가신이 이 우물의 위치가 홍주성 왼쪽이 된다는 뜻으로 이름을 지어주었다 한다.
  • 고려 때는 홍주 고을에 속했었다. 백제 때는 금주군에 속했으며, 신라 때는 해풍현에 속했었다. 조선 때는 초엽에 홍주군에 속했다가 조선 말엽엔 홍주군 주북면의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갈마동(渴馬洞), 소동(昭洞), 월계리, 북촌리(北村里), 교동 및 향산리의 각 일부를 병합, 소동과 향산의 이름을 따서, 소향리라 하여 홍양면에 편입되었다. 1940년 10월 1일 읍승격에 따라, 홍성읍 소향리가 되었다.

    1. 갈마지(渴馬池) : 마을에 갈마음수형(渴馬飮水形)의 명당이 있다 해서, 갈마지라고 부른다.
    2. 향산(香山) :마을 한복판에 오래 묵은 향나무가 있다 해서, 향산이라고 부른다 한다.
    3. 시묘동(侍墓洞) : 옛날 어떤 효자가 시묘(侍墓)를 살았다 해서, 그후부터 시묘동 또는 시묘골이라고 부른다.
    4. 청기동(靑起洞) : 6 · 25동란 후, 이북에서 피난 온 피난민들이 모여서 푸른 꿈을 가지고 일어서야 되겠다는 뜻에서 청기동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 고려 때는 홍주 고을에 속했었다. 백제 때는 금주군(今州郡)에 속했으며, 신라 때는 초엽에 홍주군에 속했다. 조선 때는 초엽에 홍주군(洪州郡)에 속했다가 조선 말엽엔 홍주군 주남면(洪州郡 州南面)의 지역이었다. 1914행정구역 개편 때, 송암리(松岩里) · 죽전리(竹田里 ) · 사성리 · 월천리 · 학교리(鶴嬌里) 각 일부를 병합, 송암(松岩)과 월천(月川)의 이름을 따서, 송월리라 하여 홍양면에 편입되었다. 1940년 10월 1일 읍승격에 따라, 홍성읍 송월 리가 되었다.

    1. 죽전 : 옛날에는 대나무가 울창한 대밭이 있었다 한다.
    2. 월천 : 마을 앞에 내가 흐르고 뒤에 산이 있는데, 달처럼 생긴 마을이라 월천이라고 한다.
    3. 송암 : 마을에 큰 소나무와 큰 바위가 있다 해서, 송암이라고 부른다.
    4. 장고개 : 죽전에 학계리를 거쳐 홍성장으로 가는 고개를 장고개라고 부른다, 장을 보러 사람들이 넘어 다니던 고개라, 장고개라고 부른다.
  • 고려 때는 홍주 고을에 속했었다. 백제 때는 금주군(今州郡)에 속했으며, 신라 때는 해풍현(海豊縣)에 속했었다. 조선 때는 초엽에 홍주군(洪州郡)에 속했다가 조선 말엽엔 홍주군 주남면(洪州郡 州南面)의 지역이었다. 1914행정구역 개편 때, 개음리(介音里), 신리(新里), 사성리(巳城里) 및 월천리(月川里)의 각 일부와 번천면(番川面)의 세천리(世川里) 및 종현리(種縣里) 각 일부를 병합, 신리와 사성의 이름을 따서, 신성리라 하여 홍양면에 편입되었다. 1940년 10월 1일 읍승격에 따라 홍성군 신성리가 되었다.

    1. 사성골 : 신성리에 꽃봉산이란 산이 마을을 두르고 있는데 산의 협곡이 뱀과 같이 마을을 감싸고 있다 해서, 사성골 또는 배암성이라고 부른다.
    2. 신리 : 지금으로부터 약 100년 전에 정씨 한 사람이 벌판을 개척하여, 새로 마을을 이루었는데, 새로 마을이 생겼다 해서, 신리(新里)라고 부른다.
    3. 당굴고랑 : 옛날에 골짜기에 신당(新堂)이 있었다 해서, 당굴고랑이라고 부른다.
    4. 낙서당 : 신리에서 학계리(鶴溪里)로 넘어 가는 고개를 낙서당이라고 부른다. 옛날에 고개에 성황당이 있었다고 해서, 낙서당이라고 부른다.
    5. 꽃봉 : 산에 진달래꽃이 많이 펴서, 봄철이면 온통 꽃동산이 되는 산이라, 꽃봉이라고 부른다.
  • 고려 때는 홍주 고을에 속했었다. 백제 때는 금주군(今州郡)에 속했으며, 신라 때는 해풍현(海豊縣)에 속했었다. 조선 때는 초엽에 홍주군(洪州郡)에 속했다가 조선 말엽엔 홍주군 주북면(洪州郡 州北面)의 지역이었다. 1914행정구역 개편 때에 성내리(城內里), 북사리(北社里), 북촌리(北村里), 서문리(西門里), 옥동(玉洞), 남관리(南官里) 및 송정리(松亭里)의 각 일부를 병합, 오관리라 하여 홍양면에 편입 되었다. 1940년 10월 1일 읍승격에 따라, 홍성읍 오관리가 되었다.

    1. 송정(松亭) : 옛날부터 마을에 소나무 정자가 있었다 해서 송정이라고 부른다.
    2. 성안 : 홍주읍성(洪州邑城) 안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성안이라고 부른다.
    3. 서산통(瑞山通) : 서문밖 서쪽으로 서산 가는 길가에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서산통이라고 부른다.
    4. 서문밖 : 성안 서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서문밖이라고 부른다.
    5. 새말 : 마을이 새로 생겼다 해서, 새말이라고 부른다.
    6. 북촌리 : 북촌이라고도 부르는데, 성안 북쪽으로 마을이 있다 해서, 북촌리라고 부른다.
    7. 저자거리 : 예날에 홍성읍의 장이 섰던 자리라 저자거리 또는 구장터라고 부르는 데, 해방 후 새장터로 장터를 옮겨갔다.
    8. 옥골 : 옛날에 홍주 고을의 옥(獄)이었던 자리라 해서, 옥골이라고 부른다.
  • 고려 때는 홍주 고을에 속했었다. 백제 때는 금주군(今州郡)에 속했으며, 신라 때는 해풍현(海豊縣)에 속했었다. 조선 때는 초엽에 홍주군(洪州郡)에 속했다가 조선 말엽엔 홍주군 주북면(洪州郡 州北面)의 지역으로서, 1914행정구역 개편 때에 송정리(松亭里) · 옥동(玉洞) 각 일부와 행정리(杏亭里), 상옥리(上玉里), 하옥리(下玉里), 동리(東里), 소사동(所沙洞), 서암리(西岩里), 옥계리(玉溪里) 및 평리 (坪里)를 병합, 옥계(玉溪)와 서암(西岩)의 이름을 따서 옥암리라 하여 홍양면에 편입되었다. 1940년 4월 1일 읍승격에 따라 홍성읍 옥암리가 되었다.

    1. 갯골 : 지형이 개의 꼬리처럼 생겼다고 해서, 개골이라고도 부른다.
    2. 닥밭 : 옛날에 닥나무가 많았던 밭이라, 닥밭이라고 부른다.
    3. 벌말 : 옥암리는 지대와 산과 계곡으로 되어 있으나, 이 곳은 들이어서 들에 마을이 있으므로, 벌말이라고 부른다.
    4. 수리고개 : 동리에서 구항면(龜項面) 마온리 수리너머로 가는 고개를 수리고개라고 부른다. 또한, 서낭댕이 고개라고도 부르는데, 고개에 서낭당이 있었다 해서, 서낭당고개라고도 부른다.
    5. 옥굴 : 옥암리에서 으뜸 되는 마을로서, 마을에 옥(玉)과 같이 맑은 물이 복판으로 흘러 옥골과 같이 맑은 마을이라, 옥굴, 옥동(玉洞), 옥계(玉溪)등으로 부른다.
    6. 원작골 : 옛날부터 까치가 골짜기를 맴돌면서 희소식을 전해주는 마을이라, 원작골이라고 부른다.
    7. 행정(杏亭) : 마을에 은행(銀杏)나무 정자가 있었으므로 행정이라고 부른다.
    8. 점말 : 마을에 그릇점이 있었다 해서, 점말이라고 부르는 마을이다.
    9. 장고개 : 이 고개는 홍성장으로 통하는 고개인데, 옛날에 장을 보러 많은 사람이 지나다닌 고개이다.
  • 고려 때는 홍주고을에 속했었다. 백제 때는 금주군(今州郡)에 속했으며, 신라 때는 해풍현(海豊縣)에 속했었다. 조선 때는 초엽에 홍주군(洪州郡)에 속했다가 조선 말엽엔 홍주군 주북면(洪州郡 州北面)의 지역으로서 일월산(日月山) 아래가 됨으로 월산(月山)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하리(下里), 감계리(甘係里) 및 월산리(月山里) · 월계리(月係里) · 서문리(西門里)의 일부를 병합하여 월산리라 해서 홍성군 홍양면(洪城郡 洪陽面)에 편입 되었다. 1940년 10월 1일 읍승격에 따라, 홍성읍 월산리가 되었다.

    1. 월계(月係) : 홍주의 진산으로 부르는 일월산 계곡의 산수와 함께 자리한 마을이라, 월계라고 부른다.
    2. 월산 : 일월산 아래에 마을이 있다 해서 월산이라고 부르는데, 마을의 역사가 오래 된 마을이다.
    3. 거북재 : 월계에서 월산으로 가는 고개가 거북이처럼 생겼다 해서, 거북재라고 부른다.
    4. 미륵불 : 옛날에 미륵불이 있었던 골짜기라 미륵불이라고 부른다.
  • 고려 때는 홍주 고을에 속했었다. 백제 때는 금주군에 속했으며, 신라 때는 해풍현에 속했었다. 조선 때는 초엽에 홍주군에 속했다가 조선 말엽엔 홍주군 주남면의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왕동(旺洞), 와계리(臥鷄里), 피목동, 학교리(鶴橋里) 및 남산리의 각 일부를 병합, 학교(鶴橋)와 와계(臥鷄)의 이름을 따서, 학계리라 하여 홍양면에 편입되었다. 1940년 10월 1일 읍승격에 따라, 홍성읍 학계리가 되었다.

    1. 학다리 : 옛날부터 지금의 다리부문 냇가에 학이 많이 날아왔는데, 그 자리에 다리가 생기면서 학다리라고 부르게 되었다 한다.
    2. 피목(皮目) : 피목나무가 많았던 마을이라, 피목이라고 부른다.
    3. 텃굴 : 기곡(基谷)이라고도 부르는데, 이 부근에서 오래전부터 터를 잡은 마을이라, 텃골이라고 부르다가 변해서 텃굴이라고 부른다.
    4. 왕동 : 조선때 장자가 살아서 세도를 부리던 마을이라 한다.
    5. 와계 : 학계리에서 으뜸가는 마을로서, 금계포란형(金鷄抱卵形)의 명당이 있다고 해서 와계라고 부른다.
    6. 신대(新垈) : 왕동 북쪽으로 마을로, 새로 생겼다고 해서, 신대라고 부르는 마을이다.